‘바보’가 남기고 간 숙제 “여러분도 사랑하세요”

‘바보’가 남기고 간 숙제 “여러분도 사랑하세요”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6-02-12 20:54
수정 2016-02-12 2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천주교 서울대교구 공인 첫 전기

일기·강론·편지 등 모아 자취 좇아
불평등한 현 사회가 가야할 길 제시


아, 김수환 추기경 1·2/이충렬 지음/김영사/1권 568쪽, 2권 564쪽/각 권 1만 6500원

이미지 확대
2005년 1월 서울 혜화동 주교관에서 촬영한 김수환 추기경의 모습. 활짝 웃는 얼굴에 인자함이 가득하다. 2010년 선종 1주기를 맞아 김 추기경이 수십 년간 만났던 각계 각층의 얼굴 사진들로 만든 모자이크 추모 작품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의 원판 사진이기도 하다.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는 주교가 되면서 김 추기경 스스로 세운 사목 표어다.  김영사 제공
2005년 1월 서울 혜화동 주교관에서 촬영한 김수환 추기경의 모습. 활짝 웃는 얼굴에 인자함이 가득하다. 2010년 선종 1주기를 맞아 김 추기경이 수십 년간 만났던 각계 각층의 얼굴 사진들로 만든 모자이크 추모 작품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의 원판 사진이기도 하다.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는 주교가 되면서 김 추기경 스스로 세운 사목 표어다.

김영사 제공
이미지 확대
김수환(가운데) 추기경이 1987년 1월 ‘박종철군 추모와 고문 근절을 위한 인권 회복 기구 미사’를 집전하고 있다.
김수환(가운데) 추기경이 1987년 1월 ‘박종철군 추모와 고문 근절을 위한 인권 회복 기구 미사’를 집전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1974년 5월 김수환(가운데) 추기경이 서울 목동 무허가촌을 방문한 모습.
1974년 5월 김수환(가운데) 추기경이 서울 목동 무허가촌을 방문한 모습.


2009년 2월 16일, 김수환 추기경의 병세는 폐렴 증세로 급격히 악화됐다. 문병 온 정진석 추기경과 염수정 주교, 명동성당 주임신부 박신언 몬시뇰 등에게 “나는 너무 사랑을 많이 받았습니다. 정말로 고맙습니다. 여러분들도 사랑하세요”라며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그리고 오후 6시 12분, 명동성당 종탑에서는 열 번의 조종이 울렸다. 그의 나이 87세였다. 세례명은 스테파노. 다음날, 두 명의 시각장애인이 각막이식수술을 받고 눈에서 붕대를 풀었다. 조심스럽게 눈을 뜨자 빛이 보였다. 그가 세상에 남기고 간 ‘사랑’이었다. (2권 529~530쪽)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오는 16일은 김 추기경의 선종 7주기다. 기일에 맞춰 세상에 나온 전기 ‘아, 김수환 추기경’은 1권 ‘신을 향하여’와 2권 ‘인간을 향하여’로 나눠 초고 원고만 8000여장, 전권 1132쪽의 장서로 김 추기경의 삶을 가감 없이 그렸다. 천주교 서울대교구가 공인한 첫 전기이기도 하다.

‘간송 전형필’ 등의 전기 작가로 유명한 저자는 김 추기경의 개인 일기와 미사 강론, 강연, 언론 인터뷰, 편지, 그리고 그와 함께했던 선후배 신부들과 남다른 인연을 가졌던 이들까지 모두 찾아내 김 추기경의 자취와 삶을 좇았다. 특히 수록된 360여장의 사진 중에서 100여장이 처음 공개될 정도로 김 추기경의 삶의 궤적을 묵직하고도 새롭게 재조명했다.

김 추기경은 30세에 대구 계산동에서 사제로 서품됐고, 1969년 전 세계 추기경 134명 중 최연소인 47세에 추기경이 된,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의 친구이자 한국 민주화 운동의 버팀목이었다. 그러한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몇 장면을 소개한다.

●박정희 대통령의 성탄 미사 생중계 중지 명령

1970년대 명동성당은 민주화 운동의 성지였다. 김 추기경은 1971년 성탄 자정미사 강론을 통해 “우리나라는 독재 아니면 폭력 혁명이라는 양자택일의 기막힌 운명에 직면할지도 모른다”며 박정희 정권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사전 배포된 원고에는 없는 내용이었다. 청와대에서 생중계되던 성탄 미사를 지켜보던 박 대통령은 즉각 방송 중단을 지시했다.

●“하느님이 두렵지 않느냐”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하자 김 추기경은 같은 달 26일 추모 미사 강론에서 “이 정권에 ‘하느님이 두렵지도 않느냐’고 묻고 싶다”며 “박종철은 어디 있느냐”고 꾸짖었다. 앞서 1980년 12·12 사태 후 예방한 전두환 장군에게 김 추기경은 “전 소장 쪽이 총을 뽑았기 때문에 군대의 실권을 잡은 것 아니오”라고 일갈했다. 나는 새도 떨어트릴 권력자의 표정이 굳어지는 순간이었다.

●“스테파노를 불쌍히 여겨주소서”

김 추기경은 평생을 주님께 나아갈 때 부끄럽지 않은 영혼이 되고 싶다고 기도하고 갈구했다. 감당할 수 있는 육체의 고통을 달라고도 했다. 김 추기경은 자화상 ‘바보야’ 전시회에서 “안다고 나대고 어딜 가서 대접받길 바라는 게 바보지. 그러고 보면 내가 제일 바보같이 산 것 같다”고 고백하는 등 늘 스스로를 낮췄다.

왜 김 추기경에 대한 전기를 이 시점에서 세상에 선보이는 것일까. 저자는 머리글에서 우리 사회의 불평등과 부의 불균형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을 언급하며 “김 추기경이 생전에 보여준 삶과 정신 그리고 그가 추구했던 가치관에서 우리 사회가 가야 할 길과 방법 하나를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고 집필 이유를 밝혔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2-1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