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사회’ 찾아 골목에 다시 오다

‘착한 사회’ 찾아 골목에 다시 오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2-05 16:50
수정 2016-02-06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양이 마을로 돌아가다/히라카와 가쓰미 지음/남도현 옮김/이숲/160쪽/1만 3000원

이런 얘기 많이 들었다. 열심히 일해도 먹고살기 힘들고 영세기업에 은행 문턱은 바벨탑보다 높다. 가난한 사람은 가난을 벗어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부자들은 악착같이 돈을 챙겨 더 큰 부자가 되어 간다. 자본주의는 그저 자본가에게 유리한 경제체제일 뿐, 가난한 사람에겐 힘겹고 야박한 체제에 불과하다. 그러니 자본주의에 대해 알 게 뭔가. 먹고살기도 바쁜데.

이미지 확대
한데 그렇지 않다. 알아야 한다. 잘 먹고 잘 살기보다 마음 편하게, 착하게 살기 위해서다. 새 책 ‘고양이 마을로 돌아가다’의 지향점이 여기 있다. 책의 부제를 알면 이해가 쉽다. ‘나쁜 자본주의와 이별하기’다. 공산주의와 싸워 이겼는데 나쁘다고? 물론 이겼다. 한데 자본주의의 승리가 민주주의나 인간다운 삶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한때 자본주의는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자유롭고 민주적인 경제체제로 추앙받았다. 한데 지금은 내리막을 내달리는 브레이크 없는 자전거처럼 위태로워 보인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지배를 받던 외환위기 시절,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때 똑똑히 목격했다. ‘성장’을 금과옥조로 삼은 세상에서 ‘저성장’이 얼마나 구성원들을 핍박하는지, 빈부격차는 또 얼마나 커질 수 있는지 말이다.

‘성장’ 뒤엔 ‘주식회사’가 있다. 저자는 자본과 경영이 분리된 주식회사 체계의 작동 방식에 자본주의의 본질이 있다고 본다. 주주의 주머니를 계속해서 불려 줘야만 존속할 수 있는 주식회사의 운명은 불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해야만 하는 자본주의의 모순을 불러 왔다. 저자가 책의 ‘팔할’을 성장 위주의 자본주의와 주식회사 체계의 본질을 파헤치는 데 할애한 건 이 때문이다.

그 ‘팔할’의 나머지가 해결책 이야기다. 요점은 이렇다. 욕구 충족과 생활 편의를 위해 쓰던 자원을 삶의 풍요와 정신적 충족을 위해 사용하는 전환점이 필요한데, 지금이 바로 그 시기라는 것이다. 이쯤 되면 결말도 대략 짐작이 간다.

저자는 번잡한 도쿄를 떠나 조금 후미진 동네로 이사한다. 작은 가게와 골목길이 남아 있고, 주민은 서로 오가며, 길고양이들이 한가로이 어슬렁대는 곳이다. 대기업 소유의 ‘마트’가 골목을 장악하거나 건설 재벌들의 고층 아파트가 하늘을 가리지 않은 그곳에서 저자는 동네 상인들이 만든 음식을 사 먹고, 마을 장인들이 만든 옷을 사 입고, 지역 수공업자들이 만든 물건을 사 쓰며 살아간다. 여기가 바로 ‘착한 사회’다. 저자는 단언한다. 인간이 주변과 맺는 이런 관계가 대량 생산, 대량 소비, 대량 폐기 경제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2-0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