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소설집 ‘러브 레플리카’ 펴낸 윤이형
“작가로서 과대평가받고, 엄마로서 힘겨워하며, 까마득한 낙차와 분열을 매일 느끼면서 썼다.”윤이형 작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한 8편의 단편소설에서 작가는 인간다운 삶이 불가능한, 폭력적이고 가망 없는 세계를 자주 구축한다. 장기인 SF적 상상력으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노련하게 허물며 또 다른 배경과 인물을 만들어낸다. 국내 문단에서 그의 존재감이 남다른 무게를 갖는 것도 이 지점이다.
‘굿바이’에서는 자신의 몸은 얼음 속에 재워두고 전자뇌를 심은 기계의 몸이 되어 화성으로 떠나는 인류를 그린다. 자본주의의 폐해에서 벗어나 ‘어떤 생명도 착취하지 않으면서 사는 삶’(54쪽)을 살기 위해, ‘지구에서 더이상 인간으로 살 수 없어 극단을 택한 사람들’(70쪽)이다.
어른들이 사라진 세계에서 아이들은 힘겹게 어른의 삶을 수습하고 이어가는가 하면(‘핍’), 행성 개발 사업에 고용돼 별의 원래 주인을 몰아내는 일에 연루되기도 한다(‘캠프 루비에 있었다’).
달라졌다면 인간 내면의 사소한 풍경을 더 오래, 끈길기게 응시한다는 것. 작가는 이를 두고 “예전엔 누구를 좋아한다거나 나이를 먹어서 쓸쓸하다거나 하는 사소한 감정을 쓰는 걸 두려워했다. 스스로 너무 사소하고 하찮아질까 봐서였다. 하지만 그게 실은 사람에게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변화를 짚었다.
그의 소설에서 사건들은 대개 전모를 밝히지 않은 채 ‘봉인’된다. 하지만 독자들은 미궁에 빠진 사건을 따져묻기보다는 형편을 미루어 짐작하는 쪽을 택한다. 그렇게 봉인된 순간, ‘나’와 ‘당신’이 교감했던 순간에서 윤이형 소설의 의미가 빚어지기 때문이다. 작가의 말을 빌리면 그 관계가 “사랑이 되고 싶었으나 되지 못한 감정”, 혹은 종내에는 파국일지라도, ‘나’와 ‘당신’이 포개졌던 순간이 존재한다는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삶을 견딜 힘을 얻는다.
‘언제부턴가 핍은 자신과 얀이 오직 두 명만으로 이루어진 극단의 배우들이라고 생각했다. 한 명이 떠나면 곧바로 무너져버리는 극단. 두 사람이 공유하는 기억을 제외하면 관객이라고는 없는 단출한 무대와 그 위 여기저기 조악한 농담처럼 뿌려진 무대 장치들.’(200쪽)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1-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