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와 차 한잔] 2년 4개월간의 한국 생활 책으로 펴낸 스위스 철학자 알렉상드르 졸리앙

[저자와 차 한잔] 2년 4개월간의 한국 생활 책으로 펴낸 스위스 철학자 알렉상드르 졸리앙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5-12-18 21:30
수정 2015-12-18 2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행복한 삶? 남의 시선에서 먼저 벗어나세요”

그가 내게 먼저 영어로 물었다. “평화로우신가요?”

선량한 웃음을 지으며 내 눈을 똑바로 보고 묻는 그의 질문에 난 대답을 얼버무리고 싶지는 않았다.

“솔직히 평화롭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늘 무엇인가와 싸우고 있는 느낌이에요.”

“그 무엇이 무엇인가요?” 다시 그가 내게 물었다.

“아마 산다는 것, 그 자체가 아닐까요.”

이미지 확대
심오한 철학자의 모습이면서도 때로는 천진난만한 장난꾸러기 같은 모습을 지닌 알렉상드르 졸리앙. 뇌성마비 장애가 있는 그는 한국 공중 목욕탕을 특히 좋아하고, 러브호텔과 이태원 등지를 순례하는 ‘거리의 철학자’를 자처한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심오한 철학자의 모습이면서도 때로는 천진난만한 장난꾸러기 같은 모습을 지닌 알렉상드르 졸리앙. 뇌성마비 장애가 있는 그는 한국 공중 목욕탕을 특히 좋아하고, 러브호텔과 이태원 등지를 순례하는 ‘거리의 철학자’를 자처한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영어와 프랑스어 통역이 뒤섞인 그와의 인터뷰는 이렇게 시작했다.

2012년 출간한 ‘나를 아프게 하는 것이 나를 강하게 만든다’는 책으로 밀리언셀러 작가에 오른 스위스 철학자 알렉상드르 졸리앙을 18일 서울 마포구 대흥동 자택에서 만났다. 그는 2013년 8월 스승인 서강대 종교학과 버나드 세네칼 교수를 찾아 그의 가르침을 사사하며 한국에 살고 있다. 한국 생활 2년 4개월간의 경험을 묶어 ‘왜냐고 묻지 않는 삶’(인터하우스)을 펴냈다. 한국에서 살면서 겪은 영적인 모험들을 ‘항해 일지’처럼 하루하루 썼다는 그는 “한국에 온 이유가 정신적인 기쁨을 느끼기 위한 것이었는데 한국에서의 삶은 내 인생의 굉장한 선물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당신 삶을 독자들에게 설명해 달라.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보통 사람들처럼 삶의 지혜를 갈망하며 살고 있다. 서양 철학에 깊은 영향을 받았지만 한국에 온 후로는 불교를 배우고 참선을 하며 더 깊이 있는 지혜를 깨닫기 위해 살고 있다. 내게 한국인과의 교류와 우정은 삶의 지혜를 터득하는 데 깊은 영감이 된다.

→책 제목이 ‘왜냐고 묻지 않는 삶’이다. 어떤 삶인가.

-3가지다. 미래에 구속되지 않는 삶, 현재에 집중하고 현재의 삶 속에서 평화를 찾는 삶이다. 그리고 인위적인 목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삶을 사는 것을 가리킨다. 남이 뭐라고 하는지,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런 불안감이나 평판에서 해방되는 삶을 말하고 싶었다.

→한국에서 지혜를 찾고 싶다고 했는데 뜻대로 되었나.

-유럽에서 철학과 인간의 지혜를 공부해 왔지만 피상적이었다. 한국에 와서 비로소 내가 가진 철학과 지혜를 실천하고 있는 느낌이다. 매일 좌선을 하고, 현실적인 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거리를 돌아 다니며 한국의 수많은 ‘부처’와 ‘철학자들’을 만나 배운다.

→정작 한국 청년들은 조국을 헬조선이라고 부르며 깊은 좌절감을 드러내고 있다.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하는 것을 보고 굉장히 놀랐다. 유럽의 많은 젊은이들은 한국 등 아시아를 동경하며 오고 싶어 하는 데 한국 젊은이들은 유럽을 동경하고 있는 것 같다. 학교에서, 직장에서 자신의 능력을 증명해야 하는 강박에 시달리는 한국 청년들의 사회적 압박감이 헬조선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내가 겪은 한국 문화는 결코 ‘헬조선스럽지’ 않다. 한국 문화는 위대하고 심오하고 여유롭다. 명석한 정신과 너그러운 인간을 키우는 교육이 아닌 경쟁의 장으로만 생각하는 한국 학교 교육도 헬조선 증상을 키우고 있는 건 아닐까.

→성형 공화국이라는 표현처럼 한국인들은 끊임없이 자신을 바꾸고 싶어한다.

-나는 한국인의 아름답고 선량한 눈에 푹 빠져 있다. 자신을 남과 비교해서 모자라다고 생각하니까 성형 수술을 하는 것이다. 성적, 재산, 외모 등 외적인 강제성에 자기 자신을 굴복시키는 삶의 태도다. 조건 없이 사랑해 주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자기 자신을 그렇게 고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사람 간 연대가 중요하다.

→에세이 속에서 한국 공중 목욕탕이 가장 좋다고 했다.

-‘데탕트’(긴장 완화)의 공간이다. 내 몸과 화해하는 시간이자 장애를 가진 나 자신에 대한 콤플렉스를 잊고 내 몸을 소중하게 여기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다. 치유의 공간이자, 왜냐고 묻지 않는 삶이라는 화두를 불어넣은 곳이 한국의 목욕탕이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5-12-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