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 제재·압박 효과 판단한 듯 “시진핑, 제재 수위 높이겠다 말해”
트럼프, 北비핵화 회담 진전 시사亞 순방 北 자극 않고 분위기 조성
푸틴 트럼프에 전화해
AF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친구가 되려고 애쓰고 있다”며 북·미 대화를 시사했다. 이는 지난 10월 1일 틸러슨 장관의 ‘북·미 대화론’에 “시간 낭비하지 말라”고 비판하며 ‘화염과 분노’ 등 초강경 대북 발언을 이어 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 미묘한 변화가 읽히는 대목이다.
아시아를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나는 김정은에게 ‘작고 뚱뚱하다’고 하지 않는데, 그는 왜 나를 ‘늙었다’고 모욕하는가”라며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이어 “할 수 없지. 나는 그의 친구가 되기 위해 그렇게 애쓰는데”라며 “어쩌면 언젠가 그렇게 될지도 모르지”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자회견에서도 ‘김 위원장과 친구가 될 수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일어나기에는 괴상한 일일지도 모르지만 하나의 가능성”이라고 답했다. 이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실제로 일어날지는 모르지만 실현된다면 아주아주 좋은 일일 것”이라며 북·미 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틸러슨 장관도 10일 중국 베이징에서 베트남 다낭으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기자들에게 “미국과 북한은 메시지가 오가는 2~3개 채널을 가동하고 있으며 서로 결국 ‘첫 대화를 할 때가 됐다’고 할 날이 올 것”이라며 북·미 대화 가능성을 열어 놨다. 틸러슨 장관은 이어 북·미 대화를 위해서는 “김 위원장이 만남을 원하다는 표시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북한이 미국의 경제 제재를 견디기 어려우면 협상 테이블에 나와 앉으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정부에서 북·미 대화론이 다시 떠오른 이유는 이번 아시아 순방에서 미국의 대북 외교적·경제적 압박이 가시적 효과를 내고 있다는 확신과 함께 중국 정부가 적극적 대북 압박 공조에 나설 것이라는 ‘언질’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틸러슨 장관은 9일 “(미국) 제재가 북한 경제와 주민뿐 아니라 군부 일부에까지 압력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어떤 신호들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트럼프 정부는 대북 제재 효과로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앉을 시간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대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우려와 달리 이번 한·중·일 순방에서 대북 발언의 수위를 낮추며 북한을 자극하지 않은 것과도 맞물려 있다. 또 틸러슨 장관과 국무부는 북한 김정은 정권의 체제를 인정하는 이른바 ‘4노(No)’(북한의 정권교체, 정권붕괴, 흡수통일, 북한 침공 없음)도 재확인하는 등 대화의 ‘당근’도 명확히 했다.
틸러슨 장관은 그러나 일각에서 제기된 ‘60일 도발 중단시 북·미 대화 재개’ 주장은 일축했다. 그는 “60일 도발 중단이면 꽤 괜찮은 편이라는 것은 아마 조지프 윤(국무부 대북정책특별) 대표의 견해일 것”이라고 선을 그었으며 “북한이 내일이라도 미사일 추가 발사로 우리를 놀라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11-1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