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대로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최악의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계의 빅3라고 할 수 있는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의 올해 적자 규모가 7조 40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적자나, 3대 업체가 동반 적자를 내는 것은 처음이다.
상반기에만 벌써 3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낸 대우조선은 올해 연간 5조 3000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그대로 두면 부채비율이 올해 말 4000%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된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도 각각 1조 5000억여원과 6000억여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7조원이 훌쩍 넘는 적자 규모는 조선 3사가 향후 10년간 열심히 일해도 갚기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액수다.
세계 1~3위인 국내 빅3 조선사의 실적이 곤두박질친 것은 해양플랜트 사업에 무리하게 뛰어든 탓이 크다. 국내 기업끼리 지나치게 출혈, 저가 경쟁을 벌이면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었다. 수년 전부터 국내 중소조선사가 무너지면서 조선업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이를 무시한 탓도 크다. 구조조정은 더이상 외면할 수 없게 됐다. 방만 경영을 지속해 온 대우조선은 특히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해야 한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인력감축, 자산매각 등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 2조 9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이 다시 대표적인 좀비기업으로 전락한 것은 경영진, 노조, 정부가 합작한 결과다. 회사 경영진은 4조원이 넘는 부실을 숨겨 왔다. 적자가 나는데도 노사는 지난달 임금 협상에서 1인당 평균 900만원의 격려금 지급에 합의했다. 정부도 ‘낙하산 인사’를 묵과한 책임이 있다. 제대로 된 자구 노력은 하지 않고 번번이 자금만 지원해 달라고 손을 내민다면 국민들이 용납할 수 있겠나. 정부는 지난주 노조가 임금동결 등 요구를 거절하자 4조원대 자금을 지원하려던 계획을 보류했다. 너무나도 당연한 결정이다. 최소한의 고통 분담도 하지 않는다면 재기 가능성이 없는 기업이다. 언제까지 ‘대마불사’만 외칠 수는 없는 일이다.
조선업계도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 과잉 설비를 줄이고 합병·매각을 통한 다운사이징으로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 저가수주 관행에서 벗어나려면 발주량이 급감하는 추세에 맞춰 지금 같은 양적 경쟁은 피해야 한다. 일본과 중국의 조선업계가 이미 정부 주도의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반기에만 벌써 3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낸 대우조선은 올해 연간 5조 3000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그대로 두면 부채비율이 올해 말 4000%를 넘어설 것이 확실시된다.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도 각각 1조 5000억여원과 6000억여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7조원이 훌쩍 넘는 적자 규모는 조선 3사가 향후 10년간 열심히 일해도 갚기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액수다.
세계 1~3위인 국내 빅3 조선사의 실적이 곤두박질친 것은 해양플랜트 사업에 무리하게 뛰어든 탓이 크다. 국내 기업끼리 지나치게 출혈, 저가 경쟁을 벌이면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었다. 수년 전부터 국내 중소조선사가 무너지면서 조선업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이를 무시한 탓도 크다. 구조조정은 더이상 외면할 수 없게 됐다. 방만 경영을 지속해 온 대우조선은 특히 뼈를 깎는 자구 노력을 해야 한다.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인력감축, 자산매각 등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거 2조 9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이 다시 대표적인 좀비기업으로 전락한 것은 경영진, 노조, 정부가 합작한 결과다. 회사 경영진은 4조원이 넘는 부실을 숨겨 왔다. 적자가 나는데도 노사는 지난달 임금 협상에서 1인당 평균 900만원의 격려금 지급에 합의했다. 정부도 ‘낙하산 인사’를 묵과한 책임이 있다. 제대로 된 자구 노력은 하지 않고 번번이 자금만 지원해 달라고 손을 내민다면 국민들이 용납할 수 있겠나. 정부는 지난주 노조가 임금동결 등 요구를 거절하자 4조원대 자금을 지원하려던 계획을 보류했다. 너무나도 당연한 결정이다. 최소한의 고통 분담도 하지 않는다면 재기 가능성이 없는 기업이다. 언제까지 ‘대마불사’만 외칠 수는 없는 일이다.
조선업계도 스스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 과잉 설비를 줄이고 합병·매각을 통한 다운사이징으로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 저가수주 관행에서 벗어나려면 발주량이 급감하는 추세에 맞춰 지금 같은 양적 경쟁은 피해야 한다. 일본과 중국의 조선업계가 이미 정부 주도의 과감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5-10-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