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많은 언론이 정부가 8·15 광복절 전에 다각적인 남북 당국 간 대화 제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의 말을 전하는 형식으로 “특사 파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즉각 통일부 대변인이 특사 파견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부인하긴 했지만 우리측이 남북 대화의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는 기미를 내비친 것이어서 주목된다. 광복 70주년이라는 역사적·민족적 의미가 대단히 큰 이번 8·15는 남북 당국이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관계 개선의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양쪽에 전향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기대하는 이유다.
작금의 남북 관계는 그야말로 파탄 직전이다. 이명박 정부 집권 첫해인 2008년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 피살 사건 이후 7년간 사실상 얼어붙은 상태다. 그사이 천안함 폭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이 벌어지는 등 남북은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으로 치닫기까지 했다. 남북 양측은 소 닭 보듯 하는 것도 모자라 틈만 나면 으르렁대고 있다. 아무리 민족상잔의 아픔을 겪었다고는 해도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이웃보다 못한 관계로 전락한 것은 슬픈 일이다. 같은 말을 쓰고, 같은 음식을 먹으며, 같은 전통문화를 지켜 온 남북의 이런 비정상적 관계가 안타까울 따름이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남북 관계가 현시점에서 개선될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뚜렷한 계기와 희망적인 조짐이 엿보이지 않는다. 어느 한쪽이 대화를 제의하면 상대방이 화들짝 거부하는 등 남북은 현재 이가 맞지 않는 톱니바퀴처럼 삐걱대고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북측은 우리측의 남북 국회의장 회담 제의와 서울안보대화 초청을 ‘낯 간지러운 수작’, ‘뻔뻔스러운 망동’ 등의 원색적인 표현을 동원해 맹비난하기까지 했다. 대결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측의 모든 대화 제의를 거부하겠다는 게 북측의 공식 입장이다. 이런 경직된 상대에게 무슨 말을 건넬 것인가.
하지만 어떤 악조건 속에서도 이런 비정상적인 남북 관계가 더는 지속돼서는 안 된다. 남북 양측은 어떤 방식으로든 문을 열고 서로 대화해야만 한다. 이산가족들의 한을 더는 외면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북측에 두고 온 가족을 만나기 희망하는 우리측 이산가족 12만 9000여명 가운데 6만 3400여명이 가족 상봉의 한을 풀지 못하고 이미 세상을 떠났다. 지금도 한 달에 500여명씩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 생존해 있는 6만 6200여명의 53.4%에 해당하는 3만 5900여명은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80세 이상 고령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다. 서둘러도 시간이 없다.
남북 당국은 광복 70주년이라는 호기(好機)를 절대 놓쳐선 안 된다. 민족적 견지에서 대승적·전향적으로 사고(思考)의 틀을 바꿔 주기 바란다. 민간 차원이긴 하지만 8·15 남북공동행사를 반드시 성사시키고, 다음달 5~8일로 예정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의 방북을 통해 당국 간 대화 재개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전제조건 없이 만나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개성공단 문제 해결 등 현안들을 논의하길 바란다. 무엇보다 이산가족 문제를 최우선 의제로 삼아 추석 계기 상봉을 성사시켜야 할 것이다. 남북 양측의 전향적인 조치를 기대한다.
작금의 남북 관계는 그야말로 파탄 직전이다. 이명박 정부 집권 첫해인 2008년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씨 피살 사건 이후 7년간 사실상 얼어붙은 상태다. 그사이 천안함 폭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이 벌어지는 등 남북은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으로 치닫기까지 했다. 남북 양측은 소 닭 보듯 하는 것도 모자라 틈만 나면 으르렁대고 있다. 아무리 민족상잔의 아픔을 겪었다고는 해도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이웃보다 못한 관계로 전락한 것은 슬픈 일이다. 같은 말을 쓰고, 같은 음식을 먹으며, 같은 전통문화를 지켜 온 남북의 이런 비정상적 관계가 안타까울 따름이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남북 관계가 현시점에서 개선될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뚜렷한 계기와 희망적인 조짐이 엿보이지 않는다. 어느 한쪽이 대화를 제의하면 상대방이 화들짝 거부하는 등 남북은 현재 이가 맞지 않는 톱니바퀴처럼 삐걱대고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북측은 우리측의 남북 국회의장 회담 제의와 서울안보대화 초청을 ‘낯 간지러운 수작’, ‘뻔뻔스러운 망동’ 등의 원색적인 표현을 동원해 맹비난하기까지 했다. 대결 정책을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측의 모든 대화 제의를 거부하겠다는 게 북측의 공식 입장이다. 이런 경직된 상대에게 무슨 말을 건넬 것인가.
하지만 어떤 악조건 속에서도 이런 비정상적인 남북 관계가 더는 지속돼서는 안 된다. 남북 양측은 어떤 방식으로든 문을 열고 서로 대화해야만 한다. 이산가족들의 한을 더는 외면해선 안 되기 때문이다. 북측에 두고 온 가족을 만나기 희망하는 우리측 이산가족 12만 9000여명 가운데 6만 3400여명이 가족 상봉의 한을 풀지 못하고 이미 세상을 떠났다. 지금도 한 달에 500여명씩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 생존해 있는 6만 6200여명의 53.4%에 해당하는 3만 5900여명은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80세 이상 고령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다. 서둘러도 시간이 없다.
남북 당국은 광복 70주년이라는 호기(好機)를 절대 놓쳐선 안 된다. 민족적 견지에서 대승적·전향적으로 사고(思考)의 틀을 바꿔 주기 바란다. 민간 차원이긴 하지만 8·15 남북공동행사를 반드시 성사시키고, 다음달 5~8일로 예정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의 방북을 통해 당국 간 대화 재개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전제조건 없이 만나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관광 재개, 개성공단 문제 해결 등 현안들을 논의하길 바란다. 무엇보다 이산가족 문제를 최우선 의제로 삼아 추석 계기 상봉을 성사시켜야 할 것이다. 남북 양측의 전향적인 조치를 기대한다.
2015-07-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