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의 집안 싸움은 아무리 좋게 이해하려 해도 그럴 수가 없다. 경기 침체로 서민들은 초주검이 돼 있고, 메르스 사태로 온 국민이 고통받는데 여당이라는 집단이 내홍에 휩싸여 이를 외면하다니 새누리당은 스스로 여당임을 포기한 것 아닌가.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가 그 알량한 권력을 놓고 정면충돌하는 사이에 어느 자영업자는 파산 상태에서 가게 문을 닫고, 어느 메르스 환자는 가족들과 격리된 채 쓸쓸히 눈을 감고 있다. 이런 게 국민들의 뒤통수를 치는 ‘배신의 정치’가 아니고 무엇인가.
새누리당의 이번 권력투쟁은 국회법 개정안 파동과 거부권 정국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그 중심에 있었던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 부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박 대통령은 “여당 원내사령탑도 정부·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며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 친박·비박 충돌을 유도했다. 친박계는 청와대의 ‘유승민 찍어내기’ 신호탄을 기다렸다는 듯 비박계에 대한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물론 여당 당적을 가진 대통령으로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 운운하며 시시때때로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내고, 공무원연금법 등의 대야(對野) 협상에서 정부 입지를 좁혀 놓았던 유 원내대표의 행태에 부아가 치밀 수는 있겠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해도 당내에서 조용하게 해결할 일이지 온 나라가 떠들썩하게 볼썽사나운 계파 충돌로 몰아갈 일은 아니지 않은가. 국민들을 우습게 여기지 않고서는 도저히 꿈도 꿀 수 없는 일이다.
이번 새누리당 친박·비박 충돌은 내년 총선 공천권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박 대통령 취임 이후 당내 경선 등에서 판판이 고개를 떨궜던 친박계의 판세 역전 시도인 셈이다. 집권 후반기가 되면 더욱더 목소리를 내기 힘들기 때문에 이번이 사실상 비박계를 흔들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어떤 수를 써서라도 내년 총선 공천권을 최대한 확보해야 친박계의 명맥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본 것 같다. 이런 가설이 맞다면 더욱더 이번 충돌을 용납하기 어렵다. 국민은 외면하고 자리만 탐내는 여당은 필요 없다.
‘사과는 사과, 자리는 자리’라는 유 원내대표의 이중적 행보도 문제다. 90도로 허리를 굽혀 “박 대통령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공개 사과할 정도면 사실상 스스로 엄청난 잘못을 했다고 자인한 셈인데 왜 사퇴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다. 유 원내대표는 당내 분란의 원인 제공자로서 깨끗하게 물러나는 게 맞다. 자리에 연연해 당·청 간에, 당내에 더 큰 충돌과 갈등이 빚어진다면 나중에는 정말 수습하기 힘든 상황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국민들 일각에서는 새누리당의 친박·비박 충돌 재연에 “그럴 바에야 차라리 갈라서라”라며 비아냥대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구태정치의 전형인 계파갈등, 권력투쟁에 몰두하고 있는 집권 여당에 대한 실망감의 표현일 것이다. 민생은 나 몰라라 하고, 권력투쟁을 벌이는 행태는 지긋지긋하다. 새누리당이 자숙하지 않는다면 결국 국민들의 손으로 이런 ‘막장정치’를 끝장낼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은 이런 경고를 허투루 흘려들어선 안 될 것이다.
새누리당의 이번 권력투쟁은 국회법 개정안 파동과 거부권 정국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그 중심에 있었던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십 부재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도 박 대통령은 “여당 원내사령탑도 정부·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며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 친박·비박 충돌을 유도했다. 친박계는 청와대의 ‘유승민 찍어내기’ 신호탄을 기다렸다는 듯 비박계에 대한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물론 여당 당적을 가진 대통령으로서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 운운하며 시시때때로 정부 정책과 엇박자를 내고, 공무원연금법 등의 대야(對野) 협상에서 정부 입지를 좁혀 놓았던 유 원내대표의 행태에 부아가 치밀 수는 있겠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해도 당내에서 조용하게 해결할 일이지 온 나라가 떠들썩하게 볼썽사나운 계파 충돌로 몰아갈 일은 아니지 않은가. 국민들을 우습게 여기지 않고서는 도저히 꿈도 꿀 수 없는 일이다.
이번 새누리당 친박·비박 충돌은 내년 총선 공천권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박 대통령 취임 이후 당내 경선 등에서 판판이 고개를 떨궜던 친박계의 판세 역전 시도인 셈이다. 집권 후반기가 되면 더욱더 목소리를 내기 힘들기 때문에 이번이 사실상 비박계를 흔들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어떤 수를 써서라도 내년 총선 공천권을 최대한 확보해야 친박계의 명맥이 유지될 수 있다고 본 것 같다. 이런 가설이 맞다면 더욱더 이번 충돌을 용납하기 어렵다. 국민은 외면하고 자리만 탐내는 여당은 필요 없다.
‘사과는 사과, 자리는 자리’라는 유 원내대표의 이중적 행보도 문제다. 90도로 허리를 굽혀 “박 대통령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공개 사과할 정도면 사실상 스스로 엄청난 잘못을 했다고 자인한 셈인데 왜 사퇴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다. 유 원내대표는 당내 분란의 원인 제공자로서 깨끗하게 물러나는 게 맞다. 자리에 연연해 당·청 간에, 당내에 더 큰 충돌과 갈등이 빚어진다면 나중에는 정말 수습하기 힘든 상황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국민들 일각에서는 새누리당의 친박·비박 충돌 재연에 “그럴 바에야 차라리 갈라서라”라며 비아냥대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구태정치의 전형인 계파갈등, 권력투쟁에 몰두하고 있는 집권 여당에 대한 실망감의 표현일 것이다. 민생은 나 몰라라 하고, 권력투쟁을 벌이는 행태는 지긋지긋하다. 새누리당이 자숙하지 않는다면 결국 국민들의 손으로 이런 ‘막장정치’를 끝장낼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은 이런 경고를 허투루 흘려들어선 안 될 것이다.
2015-06-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