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공포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우려했던 3차 감염자까지 나와 국민들의 불안은 일상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하다. 어제까지 메르스 환자 수는 3자 감염자를 포함해 25명, 격리 환자는 700명에 가까워졌다. 감염 속도가 빨라 앞으로 격리 관찰해야 할 대상자가 1000명을 넘어설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사망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에 메르스 공포는 실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사망자가 입원했던 병원 근처 유치원들의 휴원에 이어 초등학교가 휴교했다. 무방비로 감염될까봐 아파도 병원을 가지 않고 버티는 사람들이 속출한다.
국민들은 3차 감염의 범위가 과연 어디까지 뻗칠지 걱정이 태산이다. 전문가들은 3차 감염자들의 감염 루트가 의료기관 내부인 만큼 지역사회로는 쉽게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격리 관찰과 역학조사 등 방역 체계를 제대로 가동한다면 감염 사태가 전국권으로 번질 일은 없다는 관측인 셈이다. 근거 없는 우려나 인터넷에서 떠도는 괴담은 체계적인 방역을 해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문제는 보건 당국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이미 회복하기 어려울 만큼 곤두박질쳤다는 사실이다. “(바이러스 매개원인) 낙타와의 접촉만 피하면 된다”는 안이하기 짝이 없던 당국의 초기 대응은 실소가 터진다.
급기야 사망자가 나오기까지 정부가 보여 준 부실 대응은 연일 여론의 뭇매를 맞아도 싸다. 초동 대응을 잘못했더라도 곧바로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해 방역의 정상궤도에 들어서야 했다. 그런데도 시종일관 허둥대는 것 말고는 지금까지 국민이 안심할 만한 선제적 대책을 보여 준 적이 없다. 그제 당정협의조차 첫 환자가 발생한 지 12일 만에야 이뤄졌다. 메르스 최초 환자가 입원한 병동에 함께 입원해 일찍이 격리 조치돼야 했던 사망한 환자도 당국이 전화 연락이 안 된다며 관리감독 시기를 놓친 경우다. 사망한 뒤에야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니 이래서야 국민이 무슨 수로 정부를 믿고 따라 줄 수가 있겠나. 사태를 수습하려면 정부와 국민이 손발을 맞춰야 하건만 불신 여론은 오히려 악화일로다. “‘통제 가능하다’면서 날마다 감염자가 는다”는 불안에 “감염 지역을 알려 주지 않고 허둥대는 정부 꼴이 세월호 참사 때와 같다”는 비난도 들린다.
‘방역 아마추어 국가’로 국제적 망신살까지 뻗친 현실이 기가 찬다. 당국이 허둥대는 사이에 메르스 불똥은 내수시장으로 튀었다. 중국 관광객 2000여명이 서울 관광을 취소한 데다 국내 항공사와 한류 화장품 업체 등의 주가가 급락했다. 메르스 파동이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관광 수입에 미칠 타격은 불 보듯 뻔하다.
이번 파동이 가닥 잡히면 늑장 대응의 화를 키운 당사자들에게는 국민이 납득할 수준의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방역 체계도 전면 재검토해야겠지만 당장 발등의 불은 역학조사의 구멍이 없었는지 재확인한 뒤 민관이 합심해 국가적 보건 역량을 총동원하는 일이다. 또 어영부영하다 관찰 대상자가 1000명을 넘어서면 아예 방역 통제 불능에 빠질 수도 있다고 하는데 참 걱정스럽다.
국민들은 3차 감염의 범위가 과연 어디까지 뻗칠지 걱정이 태산이다. 전문가들은 3차 감염자들의 감염 루트가 의료기관 내부인 만큼 지역사회로는 쉽게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격리 관찰과 역학조사 등 방역 체계를 제대로 가동한다면 감염 사태가 전국권으로 번질 일은 없다는 관측인 셈이다. 근거 없는 우려나 인터넷에서 떠도는 괴담은 체계적인 방역을 해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문제는 보건 당국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이미 회복하기 어려울 만큼 곤두박질쳤다는 사실이다. “(바이러스 매개원인) 낙타와의 접촉만 피하면 된다”는 안이하기 짝이 없던 당국의 초기 대응은 실소가 터진다.
급기야 사망자가 나오기까지 정부가 보여 준 부실 대응은 연일 여론의 뭇매를 맞아도 싸다. 초동 대응을 잘못했더라도 곧바로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해 방역의 정상궤도에 들어서야 했다. 그런데도 시종일관 허둥대는 것 말고는 지금까지 국민이 안심할 만한 선제적 대책을 보여 준 적이 없다. 그제 당정협의조차 첫 환자가 발생한 지 12일 만에야 이뤄졌다. 메르스 최초 환자가 입원한 병동에 함께 입원해 일찍이 격리 조치돼야 했던 사망한 환자도 당국이 전화 연락이 안 된다며 관리감독 시기를 놓친 경우다. 사망한 뒤에야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니 이래서야 국민이 무슨 수로 정부를 믿고 따라 줄 수가 있겠나. 사태를 수습하려면 정부와 국민이 손발을 맞춰야 하건만 불신 여론은 오히려 악화일로다. “‘통제 가능하다’면서 날마다 감염자가 는다”는 불안에 “감염 지역을 알려 주지 않고 허둥대는 정부 꼴이 세월호 참사 때와 같다”는 비난도 들린다.
‘방역 아마추어 국가’로 국제적 망신살까지 뻗친 현실이 기가 찬다. 당국이 허둥대는 사이에 메르스 불똥은 내수시장으로 튀었다. 중국 관광객 2000여명이 서울 관광을 취소한 데다 국내 항공사와 한류 화장품 업체 등의 주가가 급락했다. 메르스 파동이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관광 수입에 미칠 타격은 불 보듯 뻔하다.
이번 파동이 가닥 잡히면 늑장 대응의 화를 키운 당사자들에게는 국민이 납득할 수준의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방역 체계도 전면 재검토해야겠지만 당장 발등의 불은 역학조사의 구멍이 없었는지 재확인한 뒤 민관이 합심해 국가적 보건 역량을 총동원하는 일이다. 또 어영부영하다 관찰 대상자가 1000명을 넘어서면 아예 방역 통제 불능에 빠질 수도 있다고 하는데 참 걱정스럽다.
2015-06-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