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자가 5명으로 늘어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추가로 확인된 1명의 환자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를 진료했던 의사다. 전북 정읍에서도 어제 20대 여성이 메르스 의심환자로 추가로 신고됐다. 당초 메르스는 중동 지역에 국한돼 발생하고 전파력이 높지 않아 국내에서 빠르게 번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방역당국의 전망이었다. 하지만 중동 지역에 다녀온 첫 환자에 이어 그의 부인, 첫 환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60대 남성, 40대인 그의 딸에 이어 의사까지 감염되자 ‘메르스 공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대 잠복기가 2주이기 때문에 추가 감염자가 나올수 있는 다음 주말이 고비가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방역당국의 안일한 대응에 대한 비난도 커지고 있다. 첫 환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60대 남성을 간호했던 40대 딸은 자신도 메르스 발병이 우려된다며 지정격리시설로 보내 달라고 방역당국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이 여성은 나중에 메르스 환자로 확진됐다. 질병관리본부는 38도 이상의 고열 또는 급성호흡기 증세가 없어 격리 대상이 아니라고 거부했다고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비상시에는 융통성 있게 대처해야 하지만 ‘매뉴얼’에만 집착한 ‘공무원식’ 대응으로 메르스의 조기 차단 기회를 놓쳤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좀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다”고 사과를 했지만 때늦은 감이 있다.
메르스는 2003년 8000여명이 감염돼 800여명이 숨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같은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다. 아직까지 정확한 감염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제도 없다. ‘중동판 사스’로 불리는데 치사율은 사스보다 훨씬 높아 41%에 달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독감처럼 쉽게 전염되지 않는다고 해서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초기에 철저히 대응하지 않으면 속수무책이 되기 쉽다. 그런데도 질병관리본부가 지금껏 메르스 방역대책이라고 한 것은 메르스 환자를 진료했던 의료진이나 가족 등 60여명을 자택 격리자로 분류해 관할 보건소의 관찰을 받도록 하는 수준에 그쳤다.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마지막 교두보인 방역당국이 사태 확산을 막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지금이라도 방역당국은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전수조사하고 전염 경로를 철저히 조사해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등 방역대책에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방역당국의 안일한 대응에 대한 비난도 커지고 있다. 첫 환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60대 남성을 간호했던 40대 딸은 자신도 메르스 발병이 우려된다며 지정격리시설로 보내 달라고 방역당국에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이 여성은 나중에 메르스 환자로 확진됐다. 질병관리본부는 38도 이상의 고열 또는 급성호흡기 증세가 없어 격리 대상이 아니라고 거부했다고 하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비상시에는 융통성 있게 대처해야 하지만 ‘매뉴얼’에만 집착한 ‘공무원식’ 대응으로 메르스의 조기 차단 기회를 놓쳤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좀더 신중하고 철저하게 대비를 했어야 했다”고 사과를 했지만 때늦은 감이 있다.
메르스는 2003년 8000여명이 감염돼 800여명이 숨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과 같은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다. 아직까지 정확한 감염 원인도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제도 없다. ‘중동판 사스’로 불리는데 치사율은 사스보다 훨씬 높아 41%에 달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독감처럼 쉽게 전염되지 않는다고 해서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초기에 철저히 대응하지 않으면 속수무책이 되기 쉽다. 그런데도 질병관리본부가 지금껏 메르스 방역대책이라고 한 것은 메르스 환자를 진료했던 의료진이나 가족 등 60여명을 자택 격리자로 분류해 관할 보건소의 관찰을 받도록 하는 수준에 그쳤다.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마지막 교두보인 방역당국이 사태 확산을 막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지금이라도 방역당국은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전수조사하고 전염 경로를 철저히 조사해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는 등 방역대책에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2015-05-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