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주국 독식’ 사라졌다
태권도는 한국, 탁구는 중국, 유도는 일본이라는 종주국 공식이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사정없이 깨지고 있다. 특정 나라가 특정 종목을 선점하지 않고 세계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의 대표적 금밭이었던 태권도는 도쿄올림픽에서 단 하나의 금메달도 따지 못했다. 태권도 경기 마지막 날인 27일 여자 67㎏초과급에서 이다빈이 은메달을, 남자 80㎏초과급에서 인교돈과 지난 24일 남자 58㎏급에서 장준이 각각 동메달을 따는 등 3개의 메달을 건졌다. 인교돈은 “이번 경기를 보니 처음 보는 나라, 처음 붙어 보는 선수도 있는데 태권도가 세계화가 돼 좋은 쪽으로 흘러가는 것은 좋은 부분”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태권도가 올림픽 메달 소외국의 희망으로 자리매김했다”고도 평가했다. 우즈베키스탄에 첫 태권도 금메달을 안긴 남자 68㎏급의 울르그베크 라시토프, 태국에 처음으로 태권도 금메달을 선사한 여자 49㎏급의 파니파크 옹파타나키트 등이 대표적이다.
탁구 혼합복식에서 일본의 미즈타니 준, 이토 미마가 중국을 물리치고 금메달을 딴 것도 대이변으로 평가된다. 탁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일본으로서는 3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