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에 얽힌 요소 파헤친 ‘복잡계 과학’… 팬데믹 후 더 주목[2022 서울미래컨퍼런스]
“왜 인간은 성장을 멈추고, 100년간 살며, 하루 8시간을 잘까? 도시와 인류의 발전은 무한한데, 왜 기업과 인간의 삶은 유한할까?”
오는 26일 열리는 ‘2022 서울미래컨퍼런스’의 기조강연을 맡은 제프리 웨스트는 미국에서 활동 중인 영국 출신 이론물리학자로서 세계 복잡계 과학의 대부로 통한다. 복잡계 과학은 인간, 사회, 경제, 환경 등 여러 분야에 얽힌 요소와 현상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과학으로, 웨스트가 개척한 분야다.
웨스트는 1984년 복잡계 연구를 위해 설립된 미국 뉴멕시코주 산타페연구소의 대표를 역임했으며, 특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생명과 도시, 기술, 지속 가능한 사회, 인류가 맞이한 문제들을 연구해 온 웨스트의 강의는 인류가 코로나19를 겪은 뒤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는 2년 이상 이어진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고도로 발전한 문명 속에서 안락한 삶을 영위하던 인류는 팬데믹을 계기로 종과 지구의 존망을 생각하게 됐다. 또 도시와 자연의 공생, 기술의 발전과 선택에 관해 진지한 고민을 시작했다.
그는 저서 ‘스케일’에서 세포부터 생태계, 도시, 사회관계망과 기업 등의 성장과 혁신, 노화와 죽음을 지배하는 보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