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소년이 소년에게
  • “시험용 인식되는 5·18… 현재로 이어지는 나눔과 배려 가르쳐야”

    “시험용 인식되는 5·18… 현재로 이어지는 나눔과 배려 가르쳐야”

    교사들이 말하는 교과서 속 5·18과 대안 교재엔 민주화운동 단편적 나열돼 한계 사건 깊게 다루는 ‘계기수업’ 통해 보완 문답식 인정교과서로 생생한 역사 습득 “40년째 왜곡·막말 바로잡아야 인식 변화” 40년 전 그날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수많은 사람이 싸운 역사는 오늘날 청소년에겐 ‘시험 범위’가 돼 버렸다. 서울신문이 만난 10대 대부분은 5·18민주화운동을 과거 사건으로 여겼다. 5·18의 역사적 의미를 묻는 말에는 한참을 망설였다. 건강한 시민을 길러 내야 할 학교는 5·18 영령이 남긴 민주 정신을 제대로 가르치고 있는 걸까. 해답을 찾기 위해 현직 중·고등학교 역사 교사 3명을 만났다. 김영주(40·14년차) 광주여고 교사, 박래훈(42·16년차) 전남 순천 별량중 교사, 이희정(34·2년차) 강원 원주 북원중 교사다. 김씨와 박씨는 올해 광주교육청의 5·18 인정교과서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이씨는 원주에서 광주까지 정기적으로 연수를 받으러 다닐 정도로 더 생생한 수업을 위해 열정을 쏟고 있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자신이 태어나기 한참 전에 일어난 5·18을 옛날 사건으로 느끼는 건 당연하다”며 “과거의 정신이 현재 어떻게 이어지고
  • 1980년 시민군 ‘생명’ 된 주먹밥… 2020년 빛고을 명물로 ‘부활 꿈’

    1980년 시민군 ‘생명’ 된 주먹밥… 2020년 빛고을 명물로 ‘부활 꿈’

    40년 전 광주 어머니들은 계엄군에 맞서 싸우는 시민군들에게 주먹밥을 뭉쳐 건넸다. 흰 쌀밥에 소금으로 간을 한 주먹밥은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생명’이나 다름없었다. 외부로부터 고립된 1980년 5월 18~27일 10일간은 공포와 두려움 속에 버틴 나날이었다.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등지에서 장사하던 아주머니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대로변과 주택가 골목 등지에 솥단지를 내다 걸고 밥을 했다. 아주머니들은 “밥 먹고 힘내 이겨내자”며 밥을 뭉쳐 나눠 줬다. 광주의 ‘주먹밥’은 그렇게 탄생했다. 이 지역에서 주먹밥이 ‘나눔’과 ‘연대’를 상징하는 음식으로 통하는 이유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즈음해 주먹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한 협동조합은 ‘주먹빵’을 만들어 ‘1980년 5월’의 공동체 정신을 나누고 있다. 5·18이 음식으로 부활한 격이다. 광주시도 이런 의미가 깃든 주먹밥과 주먹빵을 지역 대표음식으로 만들기 위해 레시피 개발과 판매점 확대에 나섰다. 자치구도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주먹밥 메뉴를 개발·보급하는 등 힘을 보탠다. ●광주 주먹밥 전문점 1호 ‘밥콘서트’ 19일 낮 12시쯤 동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인근 ‘밥콘서트’에는 20~30대
  • “오월을 지켜줘서 고마워요”… 아빠는 딸의 역사가 됐다

    “오월을 지켜줘서 고마워요”… 아빠는 딸의 역사가 됐다

    다시 오월, 父女의 이야기 1980년 5월 폭력의 기억은 여전히 트라우마다. 40년이 흘렀지만 누군가 위협을 가하는 상황이 닥치면 지금도 몸을 움직일 수가 없다. 조건반사처럼 그 끔찍한 고문과 조사관이 떠오른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매를 맞다 정신을 잃으면 고향집 앞 마당이었고, 양동이 물로 정신이 돌아오면 505보안부대 조사실이었다. 그렇게 이봉주(59) 조선대 물리학과 교수는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고문을 당했다. 그의 나이 19세, 광주 금호고 2학년(1년 휴학)이었다. 시간이 흘렀다. 소년은 중년이 됐고, 당시 소년만 한 나이의 딸이 생겼다. 딸 재민(19)양은 올해 고려대 자유전공학부에 입학했다. 이 교수는 딸이 초등학교 4학년 때 처음으로 고문당한 얘기를 털어놨고, 종종 그때 얘기를 나누곤 한다. 이 교수는 딸과 그 또래에게 거창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끔찍했던 경험 탓인지 혹시라도 부당한 권력에 저항하라고 얘기하는 것조차도 조심스럽다. 다만 “우리 사회에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딸 재민양은 아빠에게 “모진 고문에도 살아준 것만으로도 감사하다”며 “아빠의 트라우마가 더는 우리 사회에서 반복돼선 안 된다”
  • 나는 무엇도 두렵지 않았다

    나는 무엇도 두렵지 않았다

    5·18 계엄군에 처참하게 희생된 10대 36명의 기록… 文대통령 “발포명령자 진상 규명돼야” 뜨거웠던 1980년 5월 광주·전남에서 165명이 숨졌다. 36명은 10대였다. 독재정권과 계엄군의 폭력 진압에 분노해 거리로 쏟아져 나온 시민들 속엔 어린 그들이 있었다. 소년은 총 맞은 시신을 수습하다, 소녀는 부상자에게 기꺼이 피를 나눠 주다 짧은 생을 마감했다. 서울신문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청소년 희생자들이 오늘의 소년들에게 건네는 이야기를 지면에 싣는다. 살아 있다면 자식들에게 건넸을 무용담과 당부를 대신 하고픈 생각에서다. 40년이 지났지만 숙제는 그대로다.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발포 명령자가 누구인지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홈페이지(www.seoul.co.kr/SpecialEdition/518Special)에서 희생자 사진을 누르면 보다 상세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 빨갱이가 아니라 열여섯 문재학… 5월을 지켜낸 이름입니다

    빨갱이가 아니라 열여섯 문재학… 5월을 지켜낸 이름입니다

    용기는 나이에 비례하지 않는다. 전두환 신군부 계엄군이 곧 들이닥칠 걸 알면서도 까까머리 소년들은 끝끝내 도청에 남았다. 누군들 죽음이 두렵지 않았을까. 한사코 말리는 가족을 뒤로하고 총을 든 10대 시민군은 장렬히 산화했다. 지금 그들이 살아 있다면, 50대 중반의 나이다. 평범했을지도 모를 삶이 국가 폭력으로 사라진 후 야속한 40년이 흘렀다. 서울신문은 17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문재학(당시 16·광주상고1), 박성용(17·조대부고3), 안종필(16·광주상고1)군의 유족을 만났다. ‘빨갱이’의 가족으로 몰려 모진 세월을 보낸 이들이다. 생때같은 아들과 동생의 죽음을 부정당할 때마다 마음속 상처는 수없이 덧났다. 유족들은 지금 재학이, 성용이, 종필이 나이인 소년·소녀들에게 한 가지만 기억해 달라고 부탁했다. 민주주의를 지키려고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내놓았다고. “혼자 어찌 가겄어요”… 열흘 만에 ‘관 번호 94’로 돌아온 재학이 문재학 (1964년 6월~1980년 5월) ●가족 먼저 생각하고 애교 많던 막내 어려서부터 그랬다. 아버지 사업이 부도나 생활이 어려워지자 재학이는 상업고등학교에 가겠다고 자청했다. 어머니 김길자(80)씨
  • 계엄군 쫓던 소년, 머리 없이 발견…관 구하러 간 소녀, 총 7발 맞아

    계엄군 쫓던 소년, 머리 없이 발견…관 구하러 간 소녀, 총 7발 맞아

    1980년 5월 광주에서 소년·소녀가 숨졌다. 다 자라지 못한 그 작은 몸엔 수없이 많은 총알과 대검이 관통했고 주검은 군홧발에 짓밟혔다. 아이들이 죽어야 하는 이유 따윈 없었다. 삼촌 가게에 일하러 가던 19세 소년 노동자는 대검에 찔렸고, 공부하다 귀가하던 고2 남학생은 매복한 군인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 아픈 사람 살리겠다고 헌혈에 나선 17세 여고생은 총에 맞았고, 11살짜리 소년은 묘지 근처에서 친구들과 놀다가 사망했다. 서울신문은 5·18 광주민주항쟁 당시 희생된 10대 청소년들의 발자취를 정리했다. 광주민주화운동기록관이 공개한 검찰의 검시조서와 사망진단서를 확인했고, 국군 보안사령부가 작성한 ‘광주사태 관련 사망자 명단’과 ‘광주사태 사망자 검시 결과’를 국가기록원에 정보공개청구해 확인했다. 구술 기록을 확인하면서, 연락이 닿는 유족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어떤 죽음이 억울하지 않을까. 하지만 아이들은 특히 그랬다.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의 눈시울은 그렇게 40년간 마를 날이 없었다. 5·18 광주민주항쟁(5월 17~27일) 당시 사망한 165명 중 10대 청소년은 36명(21.8%)이다. 평균 나이는 16.7세로 정규교육을 거쳤다면 중학교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