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
  • [부고]

    ●서병철씨 별세, 서정주·정보(채널A 콘텐츠사업본부장)씨 부친상, 최영인(SBS 스튜디오프리즘 대표)씨 시부상 = 27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발인 29일. (02)2227-7500
  • thumbnail - ‘미스터 위기 관리’ 이상득 별세

    ‘미스터 위기 관리’ 이상득 별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23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89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 전 부의장은 그간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35년생인 이 전 부의장은 경북 포항 동지고와 서울대 상대를 졸업하고 미국 켐벨대 명예법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1년 코오롱 1기 신입 공채사원으로 입사해 코오롱과 코오롱상사 대표이사를 지냈다. 산업화 초기에 전문경영인으로서 섬유산업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88년 정계에 입문해 포항남·울릉 지역구에서만 13·14·15·16·17·18대 총선까지 내리 당선돼 6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의원 재직 중 국회부의장·운영위원장·재정경제위원장·한일의원연맹회장·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최고위원 등 주요 요직을 거쳤다. 이 전 부의장은 당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위기 극복에 앞장서 ‘미스터 위기 관리’라는 별명을 얻었다. 국회 재정경제위원장이던 1997년 외환위기를 목전에 둔 상황에서 여야 간 이견으로 금융개혁법 통과가 어려워지자 “대한민국은 여러분의 나라도 아니고 김대중 당선인의 나라도 아닙니다. 국가가 위기입니다. 우리 모두의 나라입니다. 통과시켜 주시길 바랍니다”라고 언급한 일화가 대표적이
  • thumbnail - ‘미스터 위기관리’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 별세

    ‘미스터 위기관리’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 별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23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89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 전 부의장은 그간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35년생인 이 전 부의장은 포항 동지고와 서울대 상대를 졸업하고 미국 켐벨대 명예법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1년 코오롱 1기 신입 공채사원으로 입사해 코오롱과 코오롱상사 대표이사를 지냈다. 산업화 초기에 전문경영인으로서 섬유산업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88년 정계에 입문해 포항남·울릉 지역구에서만 13·14·15·16·17·18대 총선까지 내리 당선돼 6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의원 재직 중 국회부의장·운영위원장·재정경제위원장·한일의원연맹회장·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최고위원 등 주요 요직을 거쳤다. 이 전 부의장은 당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위기 극복에 앞장서 ‘미스터 위기 관리’라는 별명을 얻었다. 국회 재정경제위원장이던 1997년 외환위기를 목전에 둔 상황에서 여야 간 이견으로 금융개혁법 통과가 어려워지자 “대한민국은 여러분의 나라도 아니고 김대중 당선인의 나라도 아닙니다. 국가가 위기입니다. 우리 모두의 나라입니다. 통과시켜 주시길 바랍니다”라고 언급한 일화가 대표적이다. 200
  • [부고]강삼영(모두가특별한교육연구원장)씨 부친상

    ●강흠석씨 별세, 강삼영(모두가특별한교육연구원장·전 강원교육청 기획조정관)씨 부친상= 22일 강원 동해병원장례식장 3층 VIP실, 발인 24일 오전 7시.(033)535-3001
  • [부고]

    ●김길중씨 별세, 김선관·선옥·선경(BI로지스 대표)·선영(파이노 감사)씨 부친상=22일 건국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24일. (02)2030-7901
  • [부고]나상현(중앙일보 경제부 기자)씨 부친상

    ●나인강(인천대 경영학부 교수)씨 별세, 나상현(중앙일보 경제부 기자)·혜영씨 부친상, 이하영(전 서울신문 기자)씨 시부상, 김태현씨 남편상=19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 12호, 발인 21일 (031)787-1500
  • [부고]

    ●김계숙씨 별세, 국중곤(KB손해보험 광주고객센터 선임실장)·현미(남도학숙 학생지원팀장)·승희(광주 북구청 평생교육관 팀장)씨 모친상, 안경호(한국일보 전국부 부장)씨 장모상=16일 광주 천지장례식장, 발인 19일. (062)527-1000
  • thumbnail - ‘유럽서 테너 활약’ 박세원 前 서울시오페라단장 별세

    ‘유럽서 테너 활약’ 박세원 前 서울시오페라단장 별세

    유럽에서 테너로 활약한 박세원 전 서울시오페라단 단장이 16일 별세했다. 77세. 1972년 서울대 음대 성악과를 졸업하고 이탈리아로 유학을 간 고인은 1982년 로마에서 데뷔했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독일, 덴마크, 스위스, 노르웨이 등에서 ‘토스카’, ‘라 트라비아타’, ‘카르멘’ 등 굵직한 오페라 주역으로 무대에 섰다. 1988년 서울올림픽 문화축전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해 스타 성악가로 각광받았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시오페라단 단장을 6년간 역임했으며, 서울대 음대 교수와 서울대 음대부설오페라연구소 소장 등을 지냈다.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대한민국 방송대상, 한국음악비평가협회 선정 한국음악대상 등을 받았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18일 오전 11시 30분. 유족으로는 부인 권경순씨, 딸 박소은씨가 있다.
  • [부고]

    ●이정식(전 CBS 사장)씨 별세, 고옥주(시인)씨 남편상, 이승호(작곡가)·승찬씨 부친상 = 16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발인 18일. (02)3010-2000
  • thumbnail - ‘이승만 대통령 전문’
원로배우 권성덕 별세

    ‘이승만 대통령 전문’ 원로배우 권성덕 별세

    드라마 ‘야인시대’, ‘영웅시대’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을 연기한 원로배우 권성덕이 지난 13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84세. 전남 나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중앙대 연극영화과를 중퇴하고 1963년 극단 ‘광장’ 단원으로 연극 생활을 시작했다. 1972년 국립극단에 입단해 20년 넘게 활동을 펼쳤으며, 1994~95년에는 국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을 지냈다. 180여편의 연극에 출연한 고인은 1969년 한국연극영화상 신인연기상을 시작으로 백상예술대상 신인상, 동아연극상 남우주연상, 백상예술대상 남우주연상, 이해랑연극상 등 각종 연기상을 받았다. 2001년에는 옥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드라마에도 꾸준히 출연했다. 특히 이승만 전 대통령을 닮은 외모로 ‘이승만 전문 배우’로 활약했다. ‘야인시대’, ‘영웅시대’, ‘서울 1945’에서 이승만 역으로 출연했고 ‘무풍지대’에서는 이기붕을 연기했다. 2016년 연극 ‘햄릿’ 준비 도중 식도암이 발병해 하차했지만 2018년 무대에 복귀해 작품 활동을 이어 왔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16일 오전 9시.
  • [부고]

    ●김수정씨 별세, 유승열·신열(신세계디에프 대표이사)·의열씨 모친상, 조호원·서성란·차은주씨 시모상 = 13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발인 15일. (02)3010-2000
  • thumbnail - [부고]“노동은 인격 실현 수단” 해직기자 출신 이흥재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부고]“노동은 인격 실현 수단” 해직기자 출신 이흥재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해직기자 출신의 노동법·사회보장법 전문가 이흥재 서울대 법대 명예교수가 8일 오후 6시 28분 서울 적십자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11일 전했다. 78세. 1946년 경남 하동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8년 서울대 법학과를 나와 중앙일보 기자로 일하다가 1980년 전두환 정권 언론탄압으로 해직당했다. 1984년 서울대 법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88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통신대, 서울대 법대와 법학전문대학원 등에서 노동법·사회보장법을 연구하고 가르쳤다. 해직 기자 출신인 그는 ‘노동은 단지 임금을 받으려고 하는 게 아니라 노동자의 인격을 실현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1988년 박사학위 논문 ‘해고제한에 관한 연구’에서 “해고의 자유는 ‘기아의 자유’로 귀착될 뿐”이라고 강조하고, ‘해고 부자유의 원칙’을 사회법(사회보장법) 원리의 출발로 규정했다. 프랑스법 중 ‘노동향유권(노동을 즐길 권리)’ 개념을 국내에 소개하며 해고예고 기간, 해고예정자의 방어권, 노조 등 근로자 측의 참여권 등을 준수하지 않거나 보장하지 않은 해고는 절차적 정의에 위반되기 때문에 무효라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서울대 법대에 ‘사회보장법 전공’ 교수로 임용돼 ‘사회
  • [부고] 김종균(부산교육청 대변인)씨 장인상

    ● 김정순씨 별세, 김성숙·김향숙·김미숙씨 부친상, 이태윤·김종균(부산교육청 대변인)씨 장인상 = 11일 오전 7시 30분, 부산보훈병원 장례식장 103호실, 발인 13일 오전 7시, 장지 국립 산청호국원. (051)601-6785
  • [부고]

    ●유은이씨 별세, 윤일봉(영화배우)씨 부인상, 윤혜진(발레리나·방송인)씨 모친상, 엄태웅(배우)씨 장모상, 유동근(배우)씨 누나상=10일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2일. (031)787-1505
  • [부고]

    ●윤포식씨 별세, 윤우섭(한국가스안전공사 홍보소통실장)·인섭(개인 사업)씨 부친상 = 9일 경북 의성 성심요양병원 장례식장, 발인 12일. (054)833-4479
  • [부고]

    ●정영애씨 별세, 최종원(배우·전 국회의원)씨 부인상, 최나래(배우)·나미(잼엔터테인먼트 대표)씨 모친상, 김옥수(블러썸이엔씨 이사)씨 장모상 = 7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0일. (02)2072-2091
  • [부고]

    ●지현탁(전 중소벤처기업부 대변인)씨 별세, 구본영씨 남편상, 지정훈씨 부친상=6일 서울대병원, 발인 8일. (02)2072-2028 ●조길순씨 별세, 박종철(KBO 심판위원)씨 모친상=6일 군산 은파장례문화원, 발인 8일. (063)445-4444
  • thumbnail - 60년간 500편 영화 조연·단역…‘어머니’ 역할 원로배우 전숙씨 별세

    60년간 500편 영화 조연·단역…‘어머니’ 역할 원로배우 전숙씨 별세

    60년 동안 500여편의 영화에 조연·단역으로 출연한 원로배우 전숙(본명 전갑례)씨가 지난 달 29일 세상을 떠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98세. 1926년생인 고인은 1955년 전창근(1907~1972) 감독 제의로 영화 ‘불사조의 언덕’에서 결혼식 장면에 아이를 업고 나오는 역할을 맡으면서 배우 인생을 시작했다. 대표작으로는 ‘시집가는 날’(1956), ‘견우직녀’(1960), ‘문정왕후’(1967) ‘충열도(1977) ’특명 8호‘(1978) ’과부 3대‘(1983) ’무릎과 무릎사이‘(2984) ’망령의 곡‘(1980) ’지옥의 링‘(1987) ’상처‘(1989)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1991) ‘나는 너를 천사라고 부른다’(1992) ‘해적’(1994) 등이 있다. 작품 속에서 주로 엄한 어머니나 자상한 친정어머니 역할 등을 맡았고, 2010년대까지도 노인 단역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식객: 김치전’(2010)에서는 노모 역할을, ‘마지막 위안부’(2014)에서도 90대 미야꼬 역, ‘그것만이 내 세상’(2018)에도 병실의 노파로 나왔다. 마지막 작품은 92세 때 선보인 ‘그것만이 내 세상’이다. 생전 한 서적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고인
  • [부고]이상훈(전 매일신문 편집이사)씨 모친상

    ● 진정숙씨 별세,이상훈(전 매일신문 편집이사)·이경희·이승윤(전 창신대 교수)·이호원·이현주(약사)·이은경(약사)씨 모친상, 김인억(전 IP메탈 팀장)·류성렬(건강관리협회 창원지부)·석정희(현대자동차 진천지점)·이형탁(강남약국)씨 장모상, 서미란(약사)씨 시모상=9월 30일,대구가톨릭대학병원 장례식장 특실1호, 발인 3일 오전 5시 30분. (053)650-3984
  • thumbnail - 최광률 초대 헌법재판관 별세

    최광률 초대 헌법재판관 별세

    최광률 초대 헌법재판관이 별세했다. 90세.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최 전 재판관은 전날 오후 숙환으로 별세했다. 최 전 재판관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1958년 10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한 뒤 대전지법 판사, 서울지법 판사를 역임했다. 유족으로는 부인과 3녀가 있으며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발인은 다음달 1일 오전 7시 천주교 가회동성당, 장지는 경기 가평군 가평읍 금대리 선산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