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
  • thumbnail - 한국·미얀마 전문가 스타인버그 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 별세

    한국·미얀마 전문가 스타인버그 전 아시아재단 한국대표 별세

    미국의 대표적 아시아 전문가인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전 아시아재단 한국 대표가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아시아재단 한국본부가 8일 전했다. 96세. 한국전쟁 중 미국가안보국(NSA)에 근무했던 고인은 여러 정부기관에서 동아시아 및 아시아 전문가로 20년간 활동했다. 1963∼1968년과 1994∼1998년 두 차례 아시아재단 한국 대표를 지냈다. 1990년 조지타운대 한국학 교수로 부임한 뒤 한국학의 위상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1997∼2007년 조지타운대 아시아연구소장을 지냈으면 퇴직 후 한국학 명예교수로 일했다. ‘돌거울(Stone mirror): 현대 한국에 대한 성찰’(2002), ‘버마의 혼란:미얀마 내부의 경쟁하는 정당성’(2006) 등 저서 14권을 남겼다.
  • thumbnail - 극장 간판부터 박정희 초상화까지… 극사실주의 이룬 이상원 화백 별세

    극장 간판부터 박정희 초상화까지… 극사실주의 이룬 이상원 화백 별세

    극사실주의 그림으로 유명한 이상원 화백이 4일 오후 별세했다. 89세. 1935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한국전쟁 후 독학으로 익힌 극장 간판 그림이나 초상화를 주문받아 그렸다. 이후 1970년 건립된 안중근의사기념관 영정 그림으로 이름을 알렸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 초상화를 비롯해 방한 국빈의 선물용 초상화를 도맡아 그리기도 했다. 1970년대 중반 순수미술가로 전향해 1978년 동아미술제와 중앙미술대전에서 상을 받았다. 동해 어부들을 극사실적인 화풍으로 표현해 주목받았다. 2000년 귀향해 2014년 춘천 사북면에 이상원미술관을 세웠으며 3000여점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정일씨와 아들 이승형(이상원미술관장)·이두형씨, 딸 이은경씨가 있다. 발인 6일. 장지는 이상원미술관 안에 조성한다.
  • [부고]임호준(헬스조선 대표)씨 모친상

    ●김위자씨 별세, 임호준(헬스조선 대표)·임민준·임무준·임명희씨 모친상=4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2호실, 발인 6일, 장지 동두천 예래원. (02)3010-2000
  • [부고]김문기(강원도 대변인)씨 모친상

    ●최영순씨 별세, 김문기(강원도 대변인)씨 모친상=3일, 속초보광병원장례식장 3층 VIP실, 발인 5일 오전 7시 30분. (033)633-7444
  • [부고]

    ●김창규씨 별세, 김진우(법무법인 해송 변호사)·진성(서울신문 신문국장)·진만(MBC 모스트267 대표)씨 부친상, 신영미·이우라(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 차장)·고혜림(방송작가)씨 시부상=1일 여의도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 3일. (02)3779-1924
  • thumbnail - 김영배 동국대 명예교수 별세… 15세기 불경 언해본 현대어로

    김영배 동국대 명예교수 별세… 15세기 불경 언해본 현대어로

    북한의 표준어(문화어)가 된 평안도 방언을 연구하고 한글 창제 직후 나온 15세기 불경 한글 번역본(언해본)을 현대어로 풀어 쓴 행촌 김영배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명예교수가 지난달 29일 별세했다. 93세. 1931년 평안북도 영변에서 태어난 고인은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한 후 동국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80~1997년 동국대 국어국문학과에서 강의했다. 평안도 방언의 음운체계를 연구했고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 등을 현대어로 풀어냈다. 석보상절은 1447년 쓰인 석가모니 부처의 일대기로 고인은 한글학회가 공개한 영인본을 토대로 작업했다. 학계에 미친 공로를 인정받아 1997년 ‘국민훈장 모란장’, 2008년 ‘일석국어학상’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아들 김종석(인하대 교수)·딸 현미씨와 사위 최호순씨, 며느리 전혜경씨 등이 있다. 빈소는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2일이다.
  • [부고]

    ●김금순씨 별세, 한창록(KBS교향악단 사장)·성욱(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즈 기획실장)씨 모친상, 정용실(KBS 아나운서)·한지안(한지안무용학원 원장)씨 시모상=28일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 30일. (02)2258-5951 ●신숙자씨 별세, 이영석(SK 지속경영담당 부사장)·순정·영희·수연씨 모친상=28일 원광대학교 병원, 발인 30일. (063)855-1734
  • [부고] 유경원(신동아건설 건축총괄 전무)씨 부친상

    ●유광웅씨 별세, 최종순씨 배우자상, 유경원(신동아건설 건축총괄 전무)·동원(LG전자 책임연구원)씨 부친상 = 28일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3호실, 발인 30일 오전 5시. (02)2227-7500
  • [부고]

    ●이중식씨 별세, 박찬자씨 남편상, 이은영·은정·유진·승아·하정씨 부친상, 서보민·김성호·심왕수·이중원(중앙홀딩스 대표이사)씨 장인상 = 26일 일산백병원 장례식장, 발인 29일. (031)902-4444
  • thumbnail - 英 ‘현존 세계 최장수 남성’ 112세 별세...“장수 이유 나도 몰라”

    英 ‘현존 세계 최장수 남성’ 112세 별세...“장수 이유 나도 몰라”

    ‘현존 세계 최장수 남성’이던 영국인 존 알프레드 티니스우드가 별세했다. 112세. 26일(현지시간) BBC방송은 티니스우드의 유족 성명을 인용해 “전날 그가 사우스포트 요양원에서 음악과 사랑에 둘러싸여 평온히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그는 타이태닉호가 침몰한 해인 1912년 8월 26일에 태어나 2020년 ‘영국 최고령 남성’이 됐다. 올해 4월에는 기존 최고령 남성이던 베네수엘라인이 114세로 별세해 기네스에서 ‘현존 세계 최고령 남성’으로 인정받았다. 고인은 제2차 세계대전 뒤 영국 우체국에서 근무하다가 석유회사 셸·BP 등에서 회계사로 일했다. 1972년 은퇴한 뒤에도 교회 장로로 봉사하며 설교하는 등 활동적인 생활을 했다고 유족들이 전했다. 티니스우드는 생전 BBC와 인터뷰에서 “젊은 시절 적극적으로 움직였고 산책도 많이 했다”면서도 “어떻게 장수의 축복을 받았는지 모른다”고 밝혔다. 공식적으로 기록된 역대 최고령 남성은 116년 54일을 산 일본인으로 2013년 사망했다. 역대 최고령 여성도 일본인으로 현재 116세이다.
  • thumbnail - [부고]국가무형문화재 ‘영산줄다리기’ 마지막 보유자 신수식씨 별세

    [부고]국가무형문화재 ‘영산줄다리기’ 마지막 보유자 신수식씨 별세

    민속놀이 ‘영산줄다리기’ 마지막 보유자 신수식 전 한국전통줄다리기 전승단체연합회장이 지난 24일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26일 전했다. 77세. 경남 창녕에서 태어난 고인은 1977년 영산줄다리기에 입문했다. 영산농협 이사, 영산면 체육회장 등을 거쳐 2010∼2014년 창녕군의원을 지냈다. 영산줄다리기보존회장을 거쳐 한국전통줄다리기 전승단체연합회장을 지냈다. 영산줄다리기는 경남 창녕군 영산면에서 이어져 온 민속놀이다. 영산줄다리기는 1대 조성국, 2대 김종곤(1938∼2022) 씨를 거쳐 고인이 이었다. 고인은 지난해 7월 명예보유자가 됐지만, 고인마저 세상을 떠나면서 무급 이수자 18명과 전수생 7명으로 이뤄진 영산줄다기리보존회만 남게 됐다. 고인의 유족은 부인 황순희 씨와 사이에 1남 3녀(신정화·신용우·신민주·신지영) 등이 있다.
  • [부고]

    ●오현씨 별세, 윤준(서울고등법원장)씨 모친상 = 25일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발인 27일. (02)3410-6917
  • [부고]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부친상

    ●박정웅씨 별세, 박지순(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씨 부친상=24일 부산시민장례식장, 발인 26일 오전 6시. (051)636-4444
  • [부고]

    ●고영규씨 별세, 고병일(광주은행장)·병선(광주 하남농협 상무)씨 부친상=21일 광주VIP장례타운, 발인 23일. (062) 521-4444
  • thumbnail - 美 공포영화 명연기 토니 토드 별세

    美 공포영화 명연기 토니 토드 별세

    영화 ‘캔디맨’ 등 여러 공포영화에서 섬뜩한 연기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미국 영화배우 토니 토드가 별세했다고 AP통신이 10일(현지시간) 전했다. 69세. 토드의 매니저는 그가 지난 6일 미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망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토드는 영화 ‘캔디맨’(1992)의 살인마 연기로 유명해졌다. 이 영화는 거울 앞에서 이름을 다섯 번 부르면 나타나는 살인마 캔디맨의 이야기를 그린 클라이브 바커의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졌다. 이 영화는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 등 미국의 주요 사회문제를 다뤄 호평받았고, 토드 역시 ‘영화 속 살인마’ 연기 대가로 자리잡았다. 토드는 2021년 리메이크된 영화에서 같은 역할을 맡았다. 2000년부터 이어진 공포영화 ‘파이널 데스티네이션’ 시리즈에서도 장의사 블러드워스 역을 맡아 극의 긴장감을 높였다. 이 밖에도 ‘플래툰’(1986), ‘크로우’(1994), ‘더 록’(1996),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2009), ‘스시걸’(2012), ‘프랑켄슈타인’(2015) 등에 출연했다.
  • [부고]문종윤(iM뱅크 홍보부장)씨 부친상

    ●문중곤씨 별세, 문종욱·문종윤(iM뱅크 홍보부장)·문서영씨 부친상=11일, 밀양시민장례식장 제1호실, 발인 13일 오전 9시. (055)354-0444
  • thumbnail - ‘헌재 이론적 기틀 수립 기여’ 이시윤 전 감사원장 별세

    ‘헌재 이론적 기틀 수립 기여’ 이시윤 전 감사원장 별세

    국내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의 일인자로 학계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고 초대 헌법재판관으로 헌재의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한 이시윤 전 감사원장이 지난 9일 별세했다. 89세. 1935년 서울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고,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1958년 10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해 판사가 됐다. 1988년 이일규 대법원장 지명으로 초대 헌법재판관이 됐다. 독일의 헌법재판 제도에 관해 연구했고 헌재 초기에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헌법재판관 임기를 9개월 남긴 1993년 12월 총리로 영전한 이회창씨의 후임으로 김영삼 정부 2대 감사원장에 발탁됐다. 법조인들은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고인을 애도했다. 박찬운 한양대 로스쿨 교수는 “고인은 우리나라 민사소송법학의 태두”라며 “고인의 타계가 제겐 1930년대생 은사와의 마지막 작별이 아닌가 싶다”고 적었다. 유족은 아들 이광득(광탄고 교장)·이항득(사업)씨와 며느리 김자호·이선영씨, 손녀 이지원(초등교사)씨, 손녀사위 류성주(서강대 교수)씨 등이 있다. 빈소는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12일 오전 8시.
  • [부고]

    ●전판개씨 별세, 최순임씨 남편상, 전재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선옥·정희씨 부친상, 최혜진씨 시부상, 이정우·허강호씨 장인상=7일 한중프라임장례식장, 발인 10일. (051)305-4000
  • [부고]

    ●이정숙씨 별세, 윤호영(전 KB국민은행 지점장)·대영(한국미래연수원장, 전 서울디자인재단 본부장)·미숙·미령·유정씨 모친상=4일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6일. (02)2072-2035
  • [부고]

    ●이인수씨 별세, 김승우(순천향대 총장)씨 장인상=29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일. (02)3410-315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