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고
...
  • [부고]

    ●신계균(전 SBS 감사)씨 별세, 이화영씨 남편상, 신현준(YTN 글로벌센터장)·혜윤씨 부친상, 권정희씨 시부상, 서호준(청담이라인치과 원장)씨 장인상=24일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발인 26일. (02)2258-5959
  • thumbnail - 외교학 원로 김용구 명예교수 별세

    외교학 원로 김용구 명예교수 별세

    국제정치학, 외교사 연구에 공을 세운 원로학자 김용구 서울대 명예교수가 23일 별세했다. 88세. 고인은 서울대 문리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부터 모교인 서울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구한말 역사를 조명한 ‘세계관 충돌과 한말 외교사(1866~1882)’, ‘세계외교사’ 등의 저서를 썼다.
  • [부고]

    ●엄진섭씨 별세, 엄재홍(영진아이앤디 부사장)·재동(대한항공 부사장)·성용씨 부친상 = 23일 서울아산병원, 발인 25일. (02)3010-2000
  • thumbnail - 국제정치학·외교사 연구 공헌…김용구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국제정치학·외교사 연구 공헌…김용구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국제정치학, 외교사 연구에 공을 세운 원로학자 김용구 서울대 명예교수가 23일 별세했다. 88세. 대한민국학술원에 따르면 고인은 서울대 문리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부터 모교인 서울대에서 학생을 가르쳤다. 학술원은 고인에 대해 “유럽 중심의 외교사와 강대국 중심의 국제관계사를 비판하고 구한말 외교 이론과 국제관계 이론을 객관적이면서도 주체적으로 연구했다”고 평가했다.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구한말 역사를 조명한 ‘세계관 충돌과 한말 외교사(1866~1882)’, ‘세계외교사’ 등의 저서를 썼으며 ‘한국 전쟁과 소련’, ‘조선에 있어서 만국공법의 수용과 적용’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빈소는 강원 춘천시 강원대학교병원 장례식장 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25일이며 장지는 춘천안식원이다. (033)254-5611.
  • [부고]

    ●이진영씨 별세, 이상혁(문화일보 편집부 차장)·상극씨 부친상 = 19일, 연세대 원주장례식장, 발인 21일. (033)744-3970
  • thumbnail - ‘훈민정음 연구 선구자’ 강신항 명예교수 별세

    ‘훈민정음 연구 선구자’ 강신항 명예교수 별세

    훈민정음 연구의 선구자로 위당 정인보(1893~1950) 선생의 셋째 사위인 강신항 성균관대 명예교수가 지난 18일 오전 4시 30분 별세했다. 95세. 1930년 충남 아산시 도고면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고를 1회로 졸업한 뒤 서울대 국문학과를 나왔다. 정인보 선생의 셋째 딸 정양완 여사와 같은 과 동기로 만나 결혼했다. 정인보 선생은 ‘삼일절 노래’를 작사한 국어학자로 1950년 납북됐다. 덕성여대를 거쳐 1964~1995년 성균관대 국문과에서 강의했으며, 국어학회장과 성균관대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세종문화상, 동숭학술상, 용재학술상, 대한민국 학술원상(2008)을 받았다. 1957~1967년 10년에 걸쳐 조선 후기 실학자 신경준(1712~1781)의 ‘훈민정음운해’를 번역하고, 1987년 대표 저서 ‘훈민정음 연구’를 저술했다. 훈민정음 연구의 선구자였지만 한글 전용보다는 국한문 혼용을 주장하기도 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발인은 21일. (02)2258-5979.
  • [부고] 현나리(대통령실 대외협력실 행정관)씨 부친상

    ●현한주씨 별세, 현나리(대통령실 대외협력실 행정관)씨 부친상=18일 천안하늘공원장례식장 2호실, 발인 20일. 041-553-8000
  • [부고]

    ●김종구씨 별세,김수정·일수·수옥씨 부친상, 소성수(크라운해태제과 홍보부장)씨 장인상=17일 부산보훈병원, 발인 20일. (051)601-6783
  • [부고]

    ●이세화씨 별세, 박남용씨 남편상, 이상현·주현·희완(국가보훈부 차관)씨 부친상, 노윤서·김호순·서하라씨 시부상=17일 경북 김천 제일병원 장례식장, 발인 19일. (054)433-9444 ●양신규씨 별세, 김선녀씨 남편상, 양길성(한국경제신문 기자)씨 부친상, 김재원(김앤장법률사무소 대리)씨 시부상=17일 중앙대병원, 발인 19일. (02)860-3506
  • [부고]서승진(국민일보 차장)씨 모친상

    ●김동옥씨 별세, 서승진(국민일보 차장)씨 모친상 =17일 오전 5시, 원주 효담삼산병원장례식장 301호, 발인 19일. (033)733-4444
  • [부고]

    ●곽영남씨 별세, 안용수(전 서울신문 부사장)·인수·인영씨 모친상, 김주룡(김주룡 이비인후과 원장)씨 장모상=15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발인 17일. (02)3100-2000
  • [부고]노도영(기초과학연구원장)씨 부친상

    ●노진흥씨 별세, 노도영(기초과학연구원장)씨 부친상 = 16일, 광주 VIP장례타운 301호실, 발인 18일 오전 8시 30분. (062)521-4444
  • [부고]백경열(경향신문 전국사회부 기자)씨 장인상

    ●김이규 씨 별세, 김범철(한국수력원자력 규제협력처 사고관리전략부장)·은주(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교류홍보과 사무관)·현주(대구MBC 편성제작국 부장) 씨 부친상, 백경열(경향신문 전국사회부 대구 주재기자) 씨 장인상 = 14일 오전 11시5분, 건국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17일. (02)2030-7903
  • [부고]김종애(미래개발 대표이사)씨 남편상

    ●이상조씨 별세, 김종애(미래개발 대표이사)씨 남편상, 이현숙·희석·희준씨 부친상=15일 오전 3시, 포항의료원 장례식장, 발인 17일. (054)245-0444
  • [부고] 안용수(전 서울신문 부사장)씨 모친상

    ●곽영남씨 본인상, 안용수(전 서울신문 부사장)·안인수 ·안인영 씨 모친상, 김주룡(김주룡 이비인후과 원장)씨 장모상, 15일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발인 17일 오전 9시 (02)3100-2000
  • thumbnail - 권기홍 전 노동부 장관 별세…향년 76세

    권기홍 전 노동부 장관 별세…향년 76세

    권기홍 전 노동부 장관이 12일 별세했다. 76세. 1949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고인은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대에서 경제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영남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로 일한 고인은 대구 최초 민간 싱크탱크인 ‘대구사회연구소’ 소장을 맡았다. 김대중 정부 시절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2003~2004년 노무현 정부 초대 노동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노동법 개혁을 주도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한 경제정책 등도 추진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서정희씨와 아들 순욱, 딸 희정씨가 있다. 빈소는 영남대학교의료원, 발인은 15일 오전 7시. (053)620-4241
  • thumbnail - 김미라 전 동의대 교수 별세…개인 재산 털어 단편영화 지원

    김미라 전 동의대 교수 별세…개인 재산 털어 단편영화 지원

    대학 재직 당시 프랑스 실험극 작가 전집을 번역하고, 퇴직 후에는 개인 재산을 털어가며 부산 지역 젊은 영화인을 지원한 김미라 전 동의대 불어불문학과 교수가 지난 10일 세상을 떠났다. 73세. 고인은 1980∼2014년 동의대 교수로 강단에 섰으며 1981년부터 10년간 현대 전위연극의 기수인 페르난도 아라발의 희곡 전집을 번역 출판했다. 퇴직 후에는 사비로 문화공간(‘공간나라’)을 운영하는 등 단편 영화를 지원했다.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2016), ‘꿋꿋이 서있다보면’(2021)를 찍었다. 젊은 영화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2017년 ‘작은영화공작소’를 만들었고, 젊은 영화인들과 함께 ‘작은영화영화제’를 개최해왔다. 남편은 김창호 전 동의대 영문과 교수이며 아들 김신(한국교직원공제회 대리)씨가 있다.
  • [부고]

    ●이수창씨 별세, 박현순씨 남편상, 이용석(한국투자캐피탈 전무)·우석(전 스포츠서울 부장)·민석(삼영소재금속 대표)씨 부친상 = 10일 신촌세브란스병원, 발인 12일. (02)2227-7500
  • thumbnail - ‘사랑과 야망’ 성우 겸 배우 최병학씨 별세

    ‘사랑과 야망’ 성우 겸 배우 최병학씨 별세

    드라마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등으로 알려진 성우 겸 배우 최병학이 지난 8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별세했다. 85세. 1940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1년 한국방송(현재 EBS)을 거쳐 1965년 MBC 성우극회 2기로 입사했다. ‘화술 교육의 길라잡이’로 불린 고인은 예명 최낙천으로도 활동하며 방송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애니메이션 ‘마징가 Z’, ‘울트라 탐험대’ 등에 출연했으며 외화 ‘하버드대학의 공부벌레들’ 킹스필드 교수 역, 라디오 드라마 프로그램 ‘전설 따라 삼천리’ 해설자로도 유명하다. 1992년 제19회 한국방송대상 남자성우상을 받았다. 드라마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억새풀’, ‘사랑과 전쟁’ 등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또 대학과 방송 아카데미 등에서 올바른 화법에 대해 강의를 해 왔다. 책 ‘마이크 앞에 서는 길’, ‘방송 화술’, ‘최병학의 화술 오디세이’ 등을 펴냈다. 유족으로는 아나운서 출신인 딸 최율미 MBC ESG 심의팀 국장과 아들 준영·인창씨가 있다. 빈소는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11일.
  • thumbnail -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성우 겸 배우 최병학 별세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성우 겸 배우 최병학 별세

    드라마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등으로 알려진 성우 겸 배우 최병학이 지난 8일 세상을 떠났다. 85세. 10일 유족에 따르면 고인은 이날 오후 급성 심근경색으로 별세했다. 1940년 경북 예천에서 태어난 고인은 1961년 한국방송(현재 EBS)을 거쳐 1965년 MBC 성우극회 2기로 입사했다. 애니메이션 ‘마징가 Z’, ‘울트라 탐험대’ 등에 출연했다. 외화 ‘하버드대학의 공부벌레들’ 킹스필드 교수 역, 라디오 드라마 프로그램 ‘전설 따라 삼천리’ 해설자로도 유명하다. 1992년 제19회 한국방송대상 남자성우상을 받았다. 드라마 ‘제3공화국’, ‘사랑과 야망’, ‘억새풀’, ‘사랑과 전쟁’ 등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당시 최낙천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했다. 또 대학과 방송 아카데미 등에서 올바른 화법에 대해 강의를 해왔다. 책 ‘마이크 앞에 서는 길’, ‘방송 화술’, ‘최병학의 화술 오디세이’ 등을 펴냈다. 빈소는 서울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11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