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보다 무서운 訓, 세상을 지배한다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말들이 있다. 부지불식간에 오랜 세월 우리의 몸을 지배해 온 시대의 언어들. 저자는 이 언어를 ‘훈’(訓)이라고 규정한다. ‘훈’은 가정, 학교, 군대, 회사, 국가에 이르기까지 일상 속에서 개인을 가르치는 데 사용된다. 부모가 자녀에게, 교사가 학생에게, 사장이 임직원에게, 정부가 국민에게 전달하는 이 말은 주로 ‘~해야 한다’, ‘~하면 안 된다’는 지침을 전달하거나 혹은 강요하는 ‘권력의 언어’다. 학교의 ‘훈’은 교훈, 훈화, 급훈, 교가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저자가 공립여자고등학교와 공립남자고등학교의 교훈을 조사한 결과 2018년 기준 여고는 ‘순결’ ‘정숙’ ‘배려’ ‘사랑’ ‘겸손’이, 남고는 ‘단결’ ‘용기’ ‘개척’ ‘책임’ ‘명예’ ‘열정’ 등이 강조됐다. 이런 ‘훈’들은 자연스럽게 여자다움과 남자다움을 특정하고 개인의 사고와 행위를 제한한다. 회사에서 마주하는 ‘훈’의 중심 키워드는 고객이다. ‘고객 최우선’, ‘고객 만족’, ‘고객이 왕’과 같은 문구가 기업의 비전, 슬로건, 경영목표 등으로 꼽힌다. 저자는 현장의 사원들이 왕이 된 소비자를 응대하면서 감정노동과 ‘갑질’의 고통을 짊어지게 됐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