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잡 안 써서 의문사한 여성…자유를 위해 달리는 이란인들의 투쟁
5시간 35분. 막차가 떠난 뒤 주어진 탈출의 시간이다. 그 시간 안에 38㎞ 길이의 터널을 통과하지 못하면 시속 160㎞로 달리는 아침 첫 기차에 치이게 된다. 그러지 않아도 되는 삶을 살았으면 더 좋았을 텐데 그렇게 살아야만 하는 삶이 참 기구하다. 대체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
유럽 공연계가 주목하는 이란 출신 연출가 겸 극작가 아미라 레자 쿠헤스타니의 신작 연극 ‘블라인드 러너’가 한국에 상륙했다. 2022년 이란의 ‘히잡 시위’(마흐사 아미니 시위)를 비롯한 여성 인권 운동, 유럽의 난민 문제 등을 다뤄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세종문화회관 ‘싱크 넥스트’의 첫 해외 초청작으로 이번에 한국을 찾았다.
작품은 1979년 이슬람 혁명, 2009년 이란 녹색 운동, 2022년 이란 히잡 시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국가 부패, 경제 불안정, 억압적인 정권에 맞서 싸우는 이란인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이와 함께 떠나야만 하는 난민들의 현실과 그들의 곤경을 강조하며 국가의 도덕적 책임과 이상에 대해 묻게 한다. 설명만 보면 추상적으로 다가오는 작품이지만 히잡 시위를 이해하고 보면 훨씬 쉽게 감상할 수 있다. 이란 히잡 시위는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