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제공
유럽 공연계가 주목하는 이란 출신 연출가 겸 극작가 아미라 레자 쿠헤스타니의 신작 연극 ‘블라인드 러너’가 한국에 상륙했다. 2022년 이란의 ‘히잡 시위’(마흐사 아미니 시위)를 비롯한 여성 인권 운동, 유럽의 난민 문제 등을 다뤄 화제를 모은 작품이다. 세종문화회관 ‘싱크 넥스트’의 첫 해외 초청작으로 이번에 한국을 찾았다.
작품은 1979년 이슬람 혁명, 2009년 이란 녹색 운동, 2022년 이란 히잡 시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국가 부패, 경제 불안정, 억압적인 정권에 맞서 싸우는 이란인의 투쟁을 그리고 있다. 이와 함께 떠나야만 하는 난민들의 현실과 그들의 곤경을 강조하며 국가의 도덕적 책임과 이상에 대해 묻게 한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작품은 아미니 사건을 최초로 보도한 기자인 닐루파 하메디와 남편의 실화에 기초한다. 여주인공인 아내는 감옥에 갇혀 있는 처지인데 하메디는 실제로 이란의 정치범 수용소인 테헤란의 에빈 교도소의 독방에 감금됐다. 아미니 사건을 보도했다는 게 감금의 이유였다.
남편과 만나는 면회실은 온통 감시카메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또한 이란에서 폐쇄회로(CC)TV를 설치해 여성들의 히잡 착용을 감시했던 것을 생각하면 그 의미가 확 와닿는다. 사회 안전망의 한 요소로 CCTV가 대거 설치된 한국과 달리 CCTV를 국가가 개인을 철저하게 감시하는 용도로 쓰인다는 점을 은유하기 때문이다. 어떤 고초를 겪는지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 아내가 남편에게마저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는 장면이 안타깝게 다가오는 이유다.
‘블라인드 러너’는 개인의 자유를 위한 투쟁은 타인과 연대할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완성된다는 쿠헤스타니의 신념에 기반한 작품이다. 영어 블라인드 러너는 시각장애인 마라토너를 의미하는데 이들이 달리기 위해서는 가이드 러너가 반드시 필요하다. 극에서 남편이 가이드 러너로 등장하는 설정은 작가가 전하려는 연대의 의미를 보다 강화한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작품의 큰 줄기를 이루는 상황들을 이해하고 보면 ‘블라인드 러너’가 품은 사회적·정치적인 메시지가 얼마나 묵직한지 이해하게 된다. 우리와 동떨어진 세계를 그리고 있지만 불편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해 그만큼 생각해볼 지점들을 많이 던져주는 작품이다. 비극적인 결말은 격렬한 투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완전한 자유가 찾아오지 않은 현실을 암시하는 듯해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2인극이지만 연출 면에서 독특해 새로운 형태의 공연을 찾는 관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작품이다. 페르시아어로 공연한다는 점도 색다르다. 21일이 마지막 공연으로 공연 시간은 60분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