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시대 물자 출납·무게 단위 기록 나왔다
백제 시기 물자의 출납 상황과 당시 무게 단위를 유추할 수 있는 목간(문자를 기록하기 위한 목제품)이 확인됐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4월 충남 부여군 동남리의 한 공공주택 신축 부지 내 유적(동남리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사진) 5점에 대한 판독 결과를 10일 밝혔다. 동남리 유적은 사비 도읍기(538~660) 시절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도로, 건물지, 수로, 우물 등이 있어 당시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적외선 분석 결과 목간은 벚나무류, 소나무류, 삼나무류에 속하는 나무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간의 형태나 판독된 문자 내용을 통해 2점은 문서용, 나머지 3점은 하찰(물품의 꼬리표)용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서용 ‘목간1’에는 날짜(十二月十一日), 금(金), 중량(重)을 뜻하는 문자와 더불어 출납(內), 재고 상황(亡) 등이 적혀 있어 행정 관부의 출납을 담당하던 관리가 기록용으로 작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는 이 목간에 쓰인 ‘중’(重)과 관련해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다리작명 은제 팔찌’에 새겨진 글자이자 기존에 백제의 무게 단위로 알려진 ‘주’(主)가 ‘중’(重)과 같은 글자로 취급돼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