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정보 유출? 위·수탁 업무?… 금감원, 카카오페이 제재 착수

    정보 유출? 위·수탁 업무?… 금감원, 카카오페이 제재 착수

    카카오페이가 중국 최대 핀테크 업체인 앤트그룹(알리)의 계열사 알리페이에 국내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제공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금융당국은 고객의 동의 없이 4000만명이 넘는 이용자들의 정보를 건넨 것으로 보고 제재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카카오페이 측은 “적법한 절차를 따랐고 철저한 암호화를 거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법리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카카오페이 해외결제 부문 현장검사 결과 고객의 동의 없이 고객신용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애플 앱스토어의 결제 수단으로 등록하기 위해 카카오페이·알리페이·애플 3자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애플 측이 부정 결제 방지 프로세스를 요구하면서 알리페이 시스템 활용을 카카오페이 측에 권고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했다. 알리페이가 ‘NSF 스코어’(애플 결제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고객 신용점수) 산출에 필요하다며 고객신용정보를 요청하자 카카오페이는 해외결제를 이용하지 않은 고객까지 포함한 전체 고객의 개인신용정보를 이용자 동의 없이 넘겼다. 금감원은 카카오페이가 2018년 4월부터 총 4045만명의 정보 542억건을 알리페이에 제공한
  •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시행 1년, 적립금 33조… 연 수익률 10.8%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시행 1년, 적립금 33조… 연 수익률 10.8%

    퇴직연금을 미리 정한 방식으로 알아서 굴려 주는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디폴트옵션)가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해당 제도에 맡긴 돈(적립금)이 33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폴트옵션 상품의 연평균 수익률은 10.8%를 기록했다. 13일 금융감독원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말 기준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적립금은 32조 9095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조 2634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가입자 수는 565만명을 기록하며 전 분기보다 38만명 늘었다. 디폴트옵션이란 퇴직연금 가입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기 어려울 때 사전에 지정한 상품으로 금융사가 알아서 운용해 주는 서비스다. 2022년 7월 처음 도입된 후 1년 유예기간을 거쳐 지난해 7월 12일 본격 시행됐다. 퇴직연금은 크게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으로 나뉘는데 디폴트옵션은 가입자가 직접 적립금을 운용하는 DC와 IRP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다. 현재 41개 퇴직연금사업자의 305개 상품이 판매·운용 중이다. 1년 이상 운용된 디폴트옵션 상품의 연수익률은 10.8%지만, 고객들이 선택한 위험 등급에 따라 수익률 격차
  • BNK경남은행,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예금 출시 기념 이벤트

    BNK경남은행,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예금 출시 기념 이벤트

    BNK경남은행은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연금예금’ 판매와 연계해 8월 31일까지 ‘콩 심은 데 콩 나고 연금 심은 데 순금 난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BNK경남은행은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연금예금 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총 115명을 추첨해 순금콩 1g(15명)과 기프트카드 5만원권(100명)을 제공한다.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으로, 기본 이율에 우대금리 최대 1.9%를 더해 최고 연 2% 금리를 적용한다. 타행창구송금수수료, 경남은행·부산은행 CD/ATM 현금인출·타행 이체 수수료, 인터넷뱅킹·텔레뱅킹·모바일뱅킹 타행 이체 수수료, 통장·증서 재발행 수수료, 제사고신고 수수료, 제증명 발급 수수료 등 면제 혜택도 제공한다. ‘내 곁에 든든 연금예금’은 연금 실적 등을 통해 우대이율을 제공하는 정기예금 상품이다. 기본 이율에 연금입금실적 보유 등 우대금리 최대 0.5%를 받으면 최고 연 3.7% 금리를 기대할 수 있다. 가입 기간 중 자녀가 결혼하거나 1개월 이상 입원(요양)이 필요해졌을 때는 특별중도해지를 할 수 있다. 내 곁에 든든 연금통장과 내 곁에 든든 연금예금에 함께 가입하면 온라인 금융사기 피해 때
  • 폭락장 속 위험한 부채… ‘마통 잔액’ 5800억 늘어

    폭락장 속 위험한 부채… ‘마통 잔액’ 5800억 늘어

    경기 침체 등에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시장의 기대가 커지면서 이달 들어 ‘마이너스통장’ 등 개인 신용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락한 ‘블랙먼데이’(8월 5일) 하루에만 시중은행의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4000억원 증가하는 등 폭락장 속에서 위험한 부채가 불어 가는 모습이다. 11일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개 시중은행에 따르면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 8일 103조 435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31일(102조 6068억원) 이후 8일 만에 8285억원이 증가했다. 신용대출 중에서도 일정 한도 내에서 비교적 쉽게 뽑아 쓸 수 있는 마이너스통장의 잔액은 5874억원 늘었다. 지난 6~7월만 하더라도 감소세에 있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갑자기 급증한 것은 글로벌 주가 급락의 여파로 분석된다. 금리 인하를 앞두고 갑작스레 증시가 급락하자 오히려 이를 저점 매수의 기회로 삼은 개인 투자자들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실제 코스피가 8.77% 폭락한 지난 5일 마이너스대출은 4031억원 늘어났으며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은 5조 6197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투자자들은 대출 등으로 마
  • 우리銀, 지주회장 친인척에 616억 대출… 금감원 “350억 부적격”

    우리銀, 지주회장 친인척에 616억 대출… 금감원 “350억 부적격”

    4년간 총 42건… 269억은 부실·연체 손 취임 후 대출액 130배 이상 집행 우리銀 관련 임직원 8명 제재 조치 “부적절 대출 행위… 통렬하게 반성” 우리은행이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친인척에게 600억원 상당의 특혜성 대출을 해 줬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금융 당국은 정상적인 대출 심사 절차를 무시하고 집행된 대출 규모만 최소 35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본다. 특히 대출받은 손 전 회장의 친인척이 대출액 중 절반 가까이 연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은 2020년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6일까지 우리은행이 손 전 회장의 친인척 그리고 친인척이 실제 자금사용처로 의심되는 차주에게 총 42건, 616억원의 대출을 실행했다고 11일 밝혔다. 2017년 우리은행장으로 취임한 손 전 회장은 2019년 1월 우리금융지주 출범과 함께 지주 회장과 은행장직을 함께 수행했다. 2020년 3월 지주 회장을 연임했고 지난해 3월 임기를 마쳤다. 우리은행은 손 전 회장의 친인척이 전현직 대표로 있었거나 대주주로 등재된 적이 있는 법인 및 개인사업자에 총 23차례에 걸쳐 454억원을 대출해 줬다. 또 타인의 명의로 돈을 빌린 뒤 해당 친인척이 자금
  • ‘반도체의 힘’ 6월 경상수지 6년 9개월만 최대 흑자

    ‘반도체의 힘’ 6월 경상수지 6년 9개월만 최대 흑자

    반도체 수출이 크게 늘고 소비재 수입이 줄면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6년 9개월 만에 최대 흑자를 거뒀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122억 6000만 달러(16조 8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7년 9월(123억 4000만 달러) 이후 81개월 만에 최대 규모의 흑자를 거둔 것이다. 6월 상품수지가 114억 7000만 달러 흑자로 2020년 9월(120억 2000만 달러) 이후 3년 9개월 만의 최대 흑자를 낸 데 따른 결과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6월 수출은 588억 2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했다. 반도체 통관 수출이 50.4% 급증한 것을 비롯해 정보통신기기도 26.0% 증가했다. 반면 수입은 5.7% 감소한 473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소비재(-15.6%)이 가장 큰 폭으로 줄었으며 원자재(-6.6%)와 자본재(-4.6%)도 감소세였다. 원자재 수입의 경우 석유제품이 17.5%, 원유가 8.2% 증가한 반면 철강재(-18.9%)와 화공품(-20.6%)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소비재 수입의 경우 승용차가 -44.1% 급감한 것을 비롯
  • 힘받는 美연준 9월 ‘빅컷’… 일각선 “긴급 인하 결단해야”

    힘받는 美연준 9월 ‘빅컷’… 일각선 “긴급 인하 결단해야”

    전 세계에 불어닥친 ‘검은 월요일’의 공포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빅컷’(0.5% 포인트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증시 폭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연준이 결국 결단에 나설 것이란 판단에서다. 일각에선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급진적인 주장까지 제기된다. 6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 지수는 연준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71.5%로 전망했다. 연준이 빅컷에 나설 확률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릴 가능성보다 훨씬 높다고 판단한 것이다. 지난 5일의 증시 대폭락 사태 이전부터 시장에선 연준의 9월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여 왔다. 과열 양상을 보였던 미국 경기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연착륙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미국의 7월 실업률이 발표되면서 상황은 급반전됐다.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에 경기 과열로 인한 금리 인하 연기를 걱정했던 시장은 오히려 급격한 경기 침체를 우려하기 시작했다. 자연스레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관심은 금리 인하 ‘폭’으로 넘어갔다. 일각
  • 美 증시도 급락 출발…‘공포지수’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최고치

    美 증시도 급락 출발…‘공포지수’ 팬데믹 이후 4년 만에 최고치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로 뉴욕증시가 5일(현지시간) 급락세로 출발한 가운데 시장의 공포 심리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공포지수’가 팬데믹 이후 4년여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 따르면 CBOE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뉴욕증시 개장 무렵 전장 대비 32포인트 넘게 상승한 55.68을 나타냈다. VIX는 앞서 이날 뉴욕증시 개장 전 65.73으로 고점을 높이기도 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금융시장이 충격에 빠졌던 2020년 3월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VIX는 주가지수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시장의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로, 주가지수가 급락할 때 급등하는 특성이 있어 공포지수로도 불린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오전 9시 32분(미 동부시간) 기준 전 거래일보다 1148.29포인트(-2.89%) 내린 3만 8588.97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8.61포인트(-4.09%) 내린 5127.9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67.37포인트(-5.77%) 내린 1만 5808.80에 각각 거래됐다. 앞서 미 노동부는
  • “일본 가려고 바꿔뒀는데”…엔화 팔까? 한 달 만에 가격 ‘껑충’

    “일본 가려고 바꿔뒀는데”…엔화 팔까? 한 달 만에 가격 ‘껑충’

    역대급 엔저를 기록했던 일본 엔화가 상승세로 확 바뀌면서 엔화를 환전하는 ‘엔테크’(엔화+재테크)가 관심받고 있다. 3일 오전 기준 엔화는 최고가 929.22원(하나은행 매매기준율)을 기록했다. 전날보다 12.13원(1.32%) 오른 수치로 900원대를 돌파한 후 거침없는 상승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은 최근 역대급 엔저 현상을 보이며 7월 4일 기준 100엔당 857.03원을 기록했다. 안 그래도 한국인에게 인기 많은 여행 국가인 일본에 가려고 계획해둔 사람들 사이에서는 엔화를 바꿔놓는 게 유행이 됐다. 당시 일본에서도 엔저 현상으로 인해 관광객이 폭주하면서 ‘오버투어리즘’의 문제에도 시달렸다. 엔저와 맞물려 지난해 12월 말 1조 1331억엔이었던 국내 주요 은행의 엔화 예금잔액은 올해 상반기에만 1598억엔(약 1조 4700억원)이 증가했다. 일본 여행을 가려는 이들이 엔화를 바꾸면서 엔화 예금이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엔화를 구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나서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일본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 약간의 변동이 있었지만 결정적으로 일본 중앙은행(BOJ)이 움직이면서 크게 올랐다. BOJ는 7월 30~31일 이틀 동안 열린 통화정책방향결정회
  • 티메프 사태 “환불 빙자 사기” 기승…금감원, 소비자경보 ‘주의’

    티메프 사태 “환불 빙자 사기” 기승…금감원, 소비자경보 ‘주의’

    최근 티몬, 위메프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에게 환불 등을 빙자해 개인정보 요구, 악성 모바일 앱 설치 유도 등 사기 시도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2일 금융감독원은 소비자 경보를 발령해 티메프 사태 수습을 빙자한 사기 범죄에 주의할 것을 안내했다. 사기범들은 티몬, 위메프의 환불 양식을 모방해 피해자의 개인정보, 구매명세 등을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 정보를 가지고 보상과 환불에 필요하다며 다시 금전을 요구하는 등 2차 가해를 벌이기 위해서다. 스미싱이나 피싱 사이트 수법도 동원됐다. 환불신청과 고객 정보 이전 등을 가장한 스미싱 문자를 유포하고 상품발송을 미끼로 피싱 페이지 접속을 유도한 정황도 확인됐다. 스미싱을 통해 악성 앱이 휴대 전화에 설치된 후 실행되면, 연락처와 금융정보 등 각종 민감한 정보가 사기범에게 노출된다. 또 피싱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도 유출돼 사기범들이 금융거래를 실행하는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금감원은 환불을 유도하는 문자메시지에 대해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티몬・위메프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환불을 접수하고 있지 않다. 환불 관련한 문의 사항
  • 티몬·위메프, 6∼7월 카드 결제액만 1조 2000억원 상당

    티몬·위메프, 6∼7월 카드 결제액만 1조 2000억원 상당

    티몬과 위메프의 지난 두 달간 카드 결제액 합산액이 1조 2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회사의 5월분 미정산금은 2200억원 규모이며, 정산 주기가 두 달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지난 6월부터 7월까지의 판매대금도 곧 미정산금으로 돌아온다. 2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는 지난 6월 티몬과 위메프 카드 결제액은 각각 4675억 8000만원과 1913억원으로 분석했다. 6월만 총 6588억 8000만원을 결제했다. 또 지난 7월 티몬과 위메프 카드 결제액은 3982억원과 1396억 2000만원으로, 합계액은 5378억 2000만원이다. 6월과 7월 두 회사의 카드 결제금액을 모두 합하면 1조 1967억원에 달한다. 모바일인덱스는 “해당 데이터는 신용·체크카드 결제 금액만 추정한 데이터로, 다른 결제 정보는 포함하지 않아 실제 매출과는 다르다”며 “7월 금액은 카드 결제 정지 전인 지난달 23일까지 내역”이라고 설명했다. 위메프는 정산 일인 지난달 7일부터 일부 판매자에게 대금을 돌려주지 못했고, 이후 티몬에도 정산 지연 사태가 번졌다. 티몬과 위메프에서 상품 구매 시 카드 결제뿐만 아니라 각종 페이결제, 계좌이체, 휴대전화결제
  • ‘대출 막차’ 몰리자… 가계빚 한 달 새 7조 늘었다

    ‘대출 막차’ 몰리자… 가계빚 한 달 새 7조 늘었다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7월 한 달간 7조원 넘게 불어났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량이 늘어난 데다 9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막차’ 수요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개 은행 가계대출 잔액을 취합한 결과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715조 7383억원으로 6월(708조 5723억원)보다 7조 1660억원 늘었다. 2021년 4월(9조 2265억원 증가) 이후 3년 3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달 18일 기준 잔액이 712조 1841억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주도 안 돼 3조 5000억원 넘게 불어난 셈이다. 가계대출 증가폭도 매달 커지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 4월 4조 4346억원, 5월 5조 2278억원, 6월 5조 3415억원으로 집계됐다. 최근 4개월 동안 월평균 5조 5000억원 넘게 증가해 온 것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주담대 잔액(559조 7501억원)은 6월(552조 1526억원) 대비 7조 5975억원이 늘어나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보다 많았다. 반면 신용대출 잔액은 1713억원 줄었다. 은행 관
  • ‘티메프’ 일반물품부터 환불… 상품권·여행은 추가 확인

    ‘티메프’ 일반물품부터 환불… 상품권·여행은 추가 확인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들이 티몬·위메프에서 물품을 산 소비자들의 결제를 일제히 취소하고 나서면서 환불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배송되지 않은 일반 상품에 대해서는 곧바로 환불이 진행되고 상품권이나 여행상품은 추가적인 확인을 거쳐 환불 절차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1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PG사들은 전날부터 위메프와 티몬으로부터 배송 정보를 넘겨받았다. PG사들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각 카드사에 환불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그동안 PG사 11곳이 결제 취소 접수를 받았음에도 소비자 환불이 되지 못한 건 물품 제공 여부를 확인하지 못해서다. PG사가 티몬·위메프로부터 정보를 확인해 배송이 되지 않았다는 점을 파악해야 환불이 이뤄질 수 있는데 그동안 정보가 PG사로 넘어가지 않아 결제 취소가 안 됐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30일부터 전산 자료를 확보할 별도 검사반을 편성해 운영하고 관련 정보를 파악하면서 소비자 환불에 속도가 나게 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날부터 “환불을 받았다”는 인증글이 쏟아졌다. 지난달 28일까지 카드사를 통해 접수된 티몬·위메프 관련 민원·이의 신청은 약 13만건(550억원 수준)이다. 삼성카드 등 일부 카드사는 고객 환불 요청
  • 주담대 금리 8개월째 떨어졌는데… 하반기 돈 빌리기, 더 어려워진다

    주담대 금리 8개월째 떨어졌는데… 하반기 돈 빌리기, 더 어려워진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지난달까지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8개월 연속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로 은행들이 7월 들어 일제히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서 하반기 대출은 한층 어려워질 수 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 6월 은행권 대출·예금 평균 금리가 모두 떨어졌다. 은행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와 코픽스 등 지표금리가 전반적으로 떨어진 영향이다. 예금은행의 6월 저축성 예금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3.51%로 5월(3.55%)보다 0.04% 포인트 떨어졌으며, 대출 금리(4.71%) 역시 한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 0.07% 포인트 낮아졌다. 기업대출 금리(4.88%)는 0.02% 포인트 내려 2022년 9월(4.66%) 이후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계대출 금리도 한 달 새 4.49%에서 4.26%로 0.23% 포인트 떨어졌다. 2022년 6월(4.23%) 이후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가계대출에서 주담대(3.71%)와 일반 신용대출(6.04%)은 각각 0.20% 포인트, 0.07% 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주담대 금리는 8개월 연
  • 日금리 0.25%로 올라 15년 만에 최고… 속 앓던 엔테크족 ‘방긋’

    日금리 0.25%로 올라 15년 만에 최고… 속 앓던 엔테크족 ‘방긋’

    물가 상승·엔화 가치 급락 등 영향 국내 6월 엔화 예금 14조원 ‘최고’ 엔화 강세 신중 ‘묻지마 베팅’ 금물 지난 3월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한 데 이어 4개월 만에 단기 정책금리를 올렸다. 물가 상승과 엔화 가치 급락이 심각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엔화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내 ‘엔테크’(엔+재테크)족의 얼굴엔 미소가 번졌지만 엔화의 급진적 강세를 전망하기엔 이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31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열어 0~0.1%인 단기 정책금리를 0.25%로 인상하는 방안을 결정했다. 이로써 일본 단기금리는 전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12월 이후 15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또 일본은행은 장기 국채 매입액을 기존 월간 6조엔(약 54조 3000억원)에서 2026년 1분기에 절반 수준인 3조엔(27조 2000억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수입 물가가 오름세로 돌아서고 있어 물가 상승 위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 인상 이유를 밝혔다. 이어 “정책금리 변경 이후에도 실질금리는 큰 폭의 마이너스가 이어지고 완화적 금융 환경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