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상용차 54%가 중국산…BYD 승용 진출 앞두고 우려 높아져
지난달 국내에 등록된 수입 상용차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웃도는 등 올해 들어 최고를 기록했다. 내년에 비야디(BYD) 등 중국 브랜드가 국내 승용차 진출을 선언한 상태에서 중국산의 국내 시장 잠식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에서 등록된 수입 상용차(버스·트럭·밴·특장차 등)는 총 659대로, 이중 중국산은 358대(54.3%)에 달했다. 전체 등록 대수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들어 월간으로 최고를 기록했다. 1∼11월 누적 기준으로도 중국산 상용차는 총 2723대가 등록돼 41.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브랜드별 수입 상용차 등록 대수에서도 상위 10개 업체에 중국의 5개 브랜드가 포함됐다. BYD가 140대로 1위를 차지했고, 지리(3위), 신위안(4위), 하이거버스(8위), 동풍소콘(10위) 등 5개 브랜드 등이 이름을 올렸다.
중국산 상용차는 국내에서 매년 입지를 넓히고 있다. 2020년 296대에 불과했던 중국산 상용차 등록 대수는 2021년 569대, 2022년 2276대, 지난해에는 4215대로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비중도 2020년 6.2%, 2021년 9.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