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61개국 출전… “메달 소외국 희망”
日 탁구 金… 韓·스웨덴 이어 3번째 非중국
코소보, 리우 이어 日 유도 싹쓸이 저지
태권도는 한국, 탁구는 중국, 유도는 일본이라는 종주국 공식이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사정없이 깨지고 있다. 특정 나라가 특정 종목을 선점하지 않고 세계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한국의 대표적 금밭이었던 태권도는 도쿄올림픽에서 단 하나의 금메달도 따지 못하고 있다. 지난 24일 남자 58㎏급에서 장준이 동메달을 딴 게 유일한 메달 소식이다.
한국으로서는 태권도 종주국의 위치가 흔들리는 일이지만 올림픽 약소국으로서는 두각을 나타낼 좋은 기회였다. 이번 도쿄올림픽에서 태권도 종목에 나선 국가는 모두 61개국으로 난민팀 선수도 3명이 있다. 뉴욕타임스는 “태권도가 올림픽 메달 소외국의 희망으로 자리매김했다”고도 평가했다. 우즈베키스탄에 첫 태권도 금메달을 안긴 남자 68㎏급의 울르그벡 라시토프, 태국에 처음으로 태권도 금메달을 선사한 여자 49㎏급의 파니파크 옹파타나키트 등이 대표적이다.
탁구 혼합복식에서 일본의 미즈타니 준, 이토 미마가 중국을 물리치고 금메달을 딴 것도 대이변으로 평가된다. 탁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일본으로서는 33년 만의 첫 금메달이었다. 특히 5년 전 리우올림픽까지 중국의 탁구 철옹성을 깬 나라는 한국과 스웨덴 등 2개국뿐이었다.
유럽의 약소국 코소보는 유도에서 2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종주국 일본의 금메달 싹쓸이를 저지했다. 인구 188만명의 코소보는 2008년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2016년 리우올림픽에서 처음으로 국기를 들고 출전할 수 있었다. 이후 코소보는 올림픽 2회 연속으로 유도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유도 강국으로 부상했다.
농구 종주국 미국의 위치도 도쿄올림픽에서 경고등이 켜진 상태다. 미국 남자농구 대표팀은 지난 25일 조별리그 A조 1차전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76-83으로 졌다. 미국이 패배한 것은 2004년 아테네올림픽 준결승 이후 17년 만이다.
미국프로농구(NBA) 현역 선수들로 구성된 ‘드림팀’이지만 ‘노 골드’ 수모를 겪을 수 있다는 부정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2021-07-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