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왜 배신자 아닌 영웅이 되었나

그는 왜 배신자 아닌 영웅이 되었나

입력 2014-02-17 00:00
수정 2014-02-17 03: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사회 뒤흔든 ‘안현수 현상’… 전문가들 분석

국가대항 스포츠 이벤트인 올림픽이 ‘내셔널리즘(민족주의)의 각축장’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동안 우리 국민들은 남다른 측면이 있었다. 메달 개수로 국가 서열을 구분 짓는가 하면 경제·복지·인권 등 다른 분야에서의 갈증을 ‘스포츠 강국’ 일원으로 보상받으려는 심리가 강했다. 은·동메달을 따고도 울상을 짓는 등 유독 메달 색깔에 대한 집착이 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소치동계올림픽에서 여전히 안현수(29)란 이름이 친숙한 러시아 국가대표 빅토르 안의 쇼트트랙 1000m 금메달 소식에 대한민국이 보인 반응은 사뭇 달랐다. 안현수 선수의 귀화 배경에 빙상계 내부의 파벌 문제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불공정한 ‘반칙사회’에 대한 분노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끓어오르는 양상이다.

안현수가 16일 러시아 소치 올림픽파크 내 메달 플라자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시상식에서 8년 만에 목에 건 올림픽 금메달을 내보이며 환하게 웃고 있다. 소치 연합뉴스
안현수가 16일 러시아 소치 올림픽파크 내 메달 플라자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시상식에서 8년 만에 목에 건 올림픽 금메달을 내보이며 환하게 웃고 있다.
소치 연합뉴스
한국 선수들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따냈다는 점에서 과거라면 ‘배신자’란 반응도 나올 법한 상황이다. 하지만 16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포털사이트 게시판 등에는 빙상계의 고질적인 파벌싸움과 연맹과의 갈등 탓에 러시아로 귀화하면서까지 금메달을 따낸 안현수에 대한 찬사가 잇따랐다. 트위터 아이디 ‘@mettayoon’은“안현수는 러시아에 금메달을 안겨 줬지만, 우리 사회의 파벌과 학맥, 인맥의 부당한 커넥션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금메달보다 값진 교훈을 주었다. 금메달 몇 개가 국위를 선양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 사회의 공정함이 국격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물론 불편한 시선도 공존한다. 한 누리꾼은 “안현수 자신도 토리노동계올림픽까지는 파벌의 혜택을 보면서 자란 선수인데, 이제 와 자신이 진실과 정의를 말하는 것처럼 한다”며 “운동을 빌미로 국적을 바꾼 출세 이기주의자”라고 비난했다

전문가들은 스포츠계는 물론 사회 전반의 뿌리 깊은 파벌과 부조리, 부정부패에 대한 분노가 ‘희생양’으로 부각된 안현수에 대한 지지와 응원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김홍중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안 선수가 국적을 바꾸면서까지 자신이 겪었던 부패의 상황에서 벗어나려 했던 행위에 대해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다”면서 “정치, 경제, 법 등 사회 전반의 구조적인 모순이 아주 단편적인 형태로 드러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올림픽은 ‘민족주의의 경연장’으로 불리며, 우리나라는 유독 이에 부합하는 성향이 강하다”며 “안현수의 귀화 배경이 파벌싸움의 희생양이었다는 사실이 부각되면서 민족주의에 대한 반발심이 표출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과거에는 배신자로 불렸을 안현수에 대한 동정 여론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사회가 성숙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안현수의 금메달에 대한 반응은 세대 간에도 조금 다르게 표출된다. 중장년층보다는 20~30대가 뜨겁다. 김석호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전형적인 저신뢰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안 선수에 대한 지지가 젊은 층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젊은 층의 대리만족을 뜻한다”면서 “안 선수의 대표팀 탈락과 금메달 획득은 공정하지 않은 기득권에 대한 반발로 볼 수 있고, 젊은 세대들은 안 선수를 본인과 처지가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2-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