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기구 “지질 변화와 연관”
中 ‘폭발의심→자연지진’ 정정韓 “음파 감지 안 돼… 자연지진”
제르보 총장은 24일 자신의 트위터에 “지난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발생했던 두 번째 지진과 23일의 두 번째 지진을 비교한 결과 인위적인 지진은 아니었다”면서 “다만, 흥미로운 것은 두 지진이 모두 비활성 단층 지역의 지진 활동이어서 6차 핵실험에 기인한 지질학적 압력과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제르보 총장은 AFP통신에도 “6차 핵실험이 아직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6차 핵실험으로 인한 5.7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당일 곧바로 발생한 4.1의 지진과 23일의 두 차례 지진이 모두 핵실험 여파 때문이라는 것이다.
지난 23일 지진 발생 직후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내비쳤던 중국 국가지진국은 하루만에 발표를 정정하며 자연 지진으로 결론 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지진국은 전날 북한에서 3.4 규모의 지진이 관측됐다고 발표하면서 진원 깊이를 0㎞로 측정하고 지진 원인과 관련해 폭발이 의심된다는 ‘의폭’(疑爆)이라는 말을 기재해 핵실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앞서 우리 기상청이 이번 지진을 ‘자연 지진’이라고 결론 내린 것은 인공 지진과 파형 특성이 다르고 음파 등이 감지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P파는 지각을 수평으로, S파는 위아래로 흔들며 이동한다. 지진 전달 속도는 P파가 초당 7∼8㎞ 정도로 초당 4∼5㎞인 S파보다 지진계에 먼저 잡히는데 인공 지진은 P파 진폭이 S파보다 매우 크지만, 자연 지진은 S파 진폭이 P파보다 더 크거나 비슷하다. 또 인공 지진은 초기 P파만 두드러질 뿐 이후 파형이 단순하다는 게 특징이다.
아울러 자연 지진에서는 음파가 대부분 발생하지 않지만 인공 지진은 폭발에 따른 공중 음파가 일어난다. 기상청은 이날 지진이 났을 때 강원 양구·철원에 있는 음파관측소에서 음파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오후 북한 지진이 자연 지진으로 밝혀지기 전까지 청와대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준비에 들어가는 등 극도로 긴장 모드에 돌입했다. 도발과 제재의 반복으로 살얼음판을 걷는 한반도 위기의 상징적 풍경이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서울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서울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7-09-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