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 방문객 3000명… 상권 ‘꿈틀’
마산은 2010년 7월 진해시와 함께 창원시에 통합됐다. 이후 행정구역상 마산의 흔적은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라는 두 개 구의 명칭으로만 남았다. 통합으로 100만 인구의 거대 도시로 재탄생했다고들 하지만, 마산 사람들에게는 결코 즐거운 얘깃거리가 아니다. 갈수록 활기를 잃어 가는 도시의 면모가 안타깝기 때문이다. 그런 고민에서 탄생한 새 명소가 ‘창동예술촌’이다. 창동을 본부 거점으로 주변의 오동동, 어시장 권역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난 5월 문을 열었다. 예술촌이 내건 캐치프레이즈는 ‘마산 원도심 활성화’. 한때 창동은 마산의 ‘명동’이었다. 최고 번화가였던 공간은 창원 신도시 건설이 본격화되고 1980년대 후반 수출자유지역이 쇠퇴하면서 급격히 쇠락했다. 지난해 통계에서는 창동 지역 350여개 점포 중 절반쯤이 비어 있었다.창동예술촌의 밑그림이 그려진 것은 창원시와 통합하던 2010년 가을. 다양한 장르의 예술인들에게 빈 점포를 작업 공간으로 제공해 ‘예술이 공존하는 상업지대’로 탈바꿈시키자는 복안이었다. 창원시가 주도한 사업인 덕분에 이후 진행 속도는 빨랐다. 오픈하고 몇 달 동안의 운영 성적은 ‘일단 성공’이다. 창동이 특별해졌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뚝 끊겼던 젊은 발길도 되돌아온다. 평일 방문객이 줄잡아 3000여명, 주말에는 그 두세 배는 된다는 게 주변 상인들의 얘기다.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는 김은숙(48)씨는 “젊은이들이 많은 경남대, 버스터미널이 있는 합성동 쪽으로 중심 상권이 옮겨진 지 십수년 만에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주말이면 아기자기하게 꾸며진 예술촌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젊은 커플족이 많다.”고 전했다.
곳곳에 나붙은 플래카드에도 재활의 생기는 엿보인다. 연극인 지망생, 서양화 입문반 모집 등 젊은 발길을 부르는 문화공간들이 요소요소에 들어서 있다. 골목은 꼬불꼬불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 모퉁이를 돌면 어떤 장면을 마주치게 될까. 기대를 품고 골목을 도는 재미가 아주 별난 곳이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2-11-0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