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노후 금융자산 7900만원 “죽기 전까지 버텨야 한다”

[단독] 노후 금융자산 7900만원 “죽기 전까지 버텨야 한다”

입력 2020-10-04 22:24
수정 2020-10-05 0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령층은 왜 고위험 상품에 몰렸나

고령층은 왜 프라이빗뱅커(PB)의 말에 넘어가 부실 사모펀드나 파생상품 같은 고위험 상품에 투자했을까. 은퇴한 노후계층의 소득 구조를 살펴봐야 원인을 이해할 수 있다.

4일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0세 이상(가구주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 2026만원이었다.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4억 3191만원)보다 1000만원가량 적다. ‘노인들은 평생 번 돈으로 부를 증식했기에 젊은 세대보다 평균적으로 돈이 많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수치다. 40대는 평균 자산이 4억 6967만원, 50대는 4억 9345만원으로 60대보다 많았다.

특히 금융자산만 떼어 보면 고령층의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음을 알 수 있다.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금융자산은 7912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1억 570만원)보다 2000만원 이상 적었다. 평생 모아 집 한 채는 마련했지만 현금은 자녀세대보다 적다는 얘기다. 임춘식 전국노인복지단체연합회 회장은 “지금 노인층은 자녀 양육과 부모 봉양 등에 번 돈을 쓰며 정작 자신의 노후 대비는 못 한 세대”라면서 “노령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제외하면 소득이 없어 얼마 안 되는 자산을 굴려 생활비라도 마련해 보려는 절박함이 있다”고 밝혔다.

라임CI펀드 등에 전 재산인 11억원을 투자했다가 환매 중단된 이모(72)씨는 “집 산 것 외에 평생 투자라고는 해 보지 않았는데, 은퇴한 뒤로는 ‘가진 돈으로 죽을 때까지 버틸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들었다”며 “병원에 갈 일도 많아질 텐데 자식들에게 짐이 되긴 싫어서 투자했다가 낭패를 봤다”고 말했다.

향후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 이들의 투자액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60세 이상 국민은 모두 1024만명인데 2030년에는 1726만 3000명, 2040년엔 2112만 2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계된다. 특히 초저금리 시대에 주식 등 직접 투자를 선호하는 젊은층과 달리 노령층은 정보 부족 등으로 펀드를 비롯해 간접 투자 상품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 금융사의 기만적 상품 판매 관행이 계속될 경우 피해는 점점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특별취재팀 유대근·홍인기·나상현·윤연정 기자 dynamic@seoul.co.kr

●제보 부탁드립니다

서울신문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보험·은행·증권사 등의 불완전 판매, 보이스피싱·유사수신 등 범죄, 금융사가 고령 고객에게 금리 등 불합리한 조건 제시하는 행위, 유사투자자문사의 위법한 투자 자문 행위 등을 집중 취재해 집중 보도하고 있습니다. 고령층을 기만하는 각종 행위를 경험하셨거나 직간접적으로 목격하셨다면 제보(dynamic@seoul.co.kr) 부탁드립니다.

제보해주신 내용은 철저히 익명과 비밀에 부쳐집니다. 끝까지 취재해 보도하겠습니다.
2020-10-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