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2O 서비스 접목된 퀵 서비스 앱, 기사-업체 간 입장차 커
퀵 서비스 앱 ‘무브잇’
다양한 분야에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면서 기존 시장을 유지하고 있던 업체와 O2O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갈등도 잇따르고 있다.
O2O 서비스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한 마케팅 서비스를 말한다. 온라인으로 고객이 서비스를 요청하면 오프라인으로 제공받는 방식이다.
‘카카오택시’가 출범하면서 콜택시 업체들과 카카오 사이에 마찰이 빚어진 바 있는데, 기존 시장과 O2O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잡음 양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같은 시장 경쟁은 최근 퀵서비스 업계로도 번지는 추세다.
퀵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무브잇’이 출시되면서 고객과 퀵 서비스 기사를 중개해주던 기존의 퀵 서비스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무브잇은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무료 퀵 서비스 앱으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한 뒤 퀵 서비스를 요청하면 인근에 있는 기사와 1대 1로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다.
퀵 서비스 기사와 고객이 곧바로 연결돼 물건 배송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배송 기사의 신원 확인이 가능하다는 점이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현재 무브잇을 통해 퀵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용 금액은 최저 8000원이며 퀵 요금을 실제 운송 거리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한다는 게 운영 취지다.
또 실시간으로 배송 현황을 추적할 수 있고 픽업 및 도착시간을 기록된다. 최대 5곳까지 경유지를 설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무브잇에 대한 퀵 서비스 기사들은 대체로 환영한다는 뜻이다. 그동안 서비스 기사는 운행 요금의 23%를 퀵 서비스 회사에 수수료 명목으로 지불하고 있었고 월 4~5만원에 해당하는 퀵 서비스 운송 정보망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료를 부담하는 등 지출이 적지 않았다.
퀵 서비스를 해온 기사 한모(43) 씨는 “모든 회사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실제 배송비보다 낮은 가격을 알려주며 돈을 떼먹는 회사도 많다”면서 “앱을 통하면 그런 부당한 일을 겪지 않아도 되고 우리도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퀵 서비스 업체들은 사업 운영에 영향을 받을 것을 우려해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무브잇은 앞으로 대형 화물까지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며 퀵 서비스 기사 등록은 경력과 지역, 법인 소속 여부와 관계없이 가능하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