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잡는 건강] 턱관절 장애, 턱만 보지 말고 근육 긴장·스트레스 풀어야

[한방으로 잡는 건강] 턱관절 장애, 턱만 보지 말고 근육 긴장·스트레스 풀어야

입력 2016-01-03 17:48
수정 2016-01-03 2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들어 입을 벌리거나 음식을 씹을 때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을 느끼는 턱관절 장애 환자가 늘고 있다. 턱관절은 하루 평균 2000번 이상 움직이는 관절로, 근육과 신경을 통해 몸 전체와 연계된 중요한 부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턱관절 장애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2010년 24만 4700여명에서 2014년 33만 8800여명으로 38.5%나 증가했다. 턱관절 장애 초기에는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귀 앞에서 소리가 나거나 약한 통증이 느껴지다 얼마 후 사라진다. 하지만 점차 입을 벌릴 때 ‘딸각’ 소리가 심해지거나 잘 다물어지지 않고, 통증이 턱관절뿐만 아니라 옆머리와 어깨까지 확대된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자체만의 문제로 발생하지 않는다. 부정교합같이 치아 자체의 문제보다는 이갈이나 이 악물기 등 턱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잘못된 자세,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이런 이유에서 턱관절 장애는 단순히 치과 치료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최근 들어선 20~30대 젊은 층에서 턱관절 장애가 유독 많이 발생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이 잦다 보니 잘못된 자세로 관절과 목 주위 근육이 긴장하게 되고 이는 턱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턱관절 주위 근육의 긴장을 내버려두면 턱관절 내 디스크까지 손상돼 통증이 악화되고 치료가 더 어려워진다. 또한 과도한 업무, 정신적 긴장으로 스트레스가 늘면 교감신경이 항진돼 근육이 더 굳게 된다. 잠을 잘 때는 온몸의 근육이 이완돼야 하는데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은 턱관절 장애 환자들은 잠잘 때 미간을 찡그리며 긴장을 풀지 못해 더 무리가 온다.

따라서 턱관절 치료는 턱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추(목) 관절이나 근육을 치료하고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등 전신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턱관절 주위에 전기침 치료나 봉독약침 요법을 시행하고 경근이완침법과 경추 교정 요법으로 경추 관절과 근육의 긴장을 줄일 필요가 있다. 교감신경의 항진을 줄이고 편안한 수면을 돕는 한약 치료를 병행하면 더 효과적이다.

■도움말 이승훈 경희대 한방병원 척추관절센터 침구과 전임의
2016-01-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