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인사이드] “정신질환자 범죄율 일반인의 10%도 안돼”

[메디컬 인사이드] “정신질환자 범죄율 일반인의 10%도 안돼”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5-12-27 17:34
수정 2015-12-28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궁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정신질환자에 대한 가장 큰 편견 중 하나는 극단적인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이다. 그렇지만 대검찰청 통계에서 정신질환자의 범죄비율은 일반인의 10%에도 못 미칠 정도로 극소수에 불과하다. 27일 남궁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에게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과 치료 이유를 물었다.

이미지 확대
남궁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남궁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Q)정신질환자 중에 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환자가 많은가요.

A)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심각한 조현병이나 조울증 환자는 10%도 되지 않아요. 나머지 90% 이상은 불면증, 공황장애, 불안증, 일시적인 스트레스 적응장애 환자입니다. ‘정신병자 아니냐’는 형용사적 표현은 정말 잘못된 표현입니다. 엽기적인 사건만 일어나면 정신질환자를 찾아요. 그렇지만 정신질환자 범죄율이 일반인 범죄율보다 훨씬 낮다는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지 않나요. 환자 대부분이 약물로 조절됩니다. 차별하지 말고 두려움을 갖지 말아야 합니다.

Q)적극적인 치료가 왜 중요합니까.

A)20대 초반 환자 중에 늘 피해망상에 시달리는 환자가 있었습니다. ‘누가 나를 해꼬지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집에만 있으려 하고 가족도 멀리하곤 했죠. 병원에서 조현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2~3주 입원해서 약을 먹기 시작하니까 ‘내가 이렇지 않았는데’라며 놀라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한 달이나 두 달에 한 번씩 약 한 알씩 먹고 사회로 복귀해서 대기업 다녀요. 모든 의학의 기본 원칙은 첫 번째가 예방, 두 번째가 조기에 발견해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 세 번째가 재활을 통해 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겁니다. 우울증을 초기에 진단해 약을 한 알씩 먹으면 완치까지 할 수 있는데 놔두면 만성화돼서 극단적인 선택을 합니다. 조기에 치료하면 평생 자기 역할을 할 수 있는데 늦으면 후유증이 남습니다. 만약에 환자라면 어떻게 해야겠습니까.

Q)죽을 때까지 안고 가야 하는 병이라는 걱정도 많지 않나요.

A)저는 거꾸로 환자에게 물어봅니다. 완치가 어떤 개념이냐. 세브란스병원 하루 외래환자가 1만명인데 완치병은 엄밀히 말하면 다리 부러지는 외상, 장티푸스나 이질 같은 감염성 질환 같은 일부에 불과합니다.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은 관리를 해야 하는 병이죠. 그럼 치료를 시작할 필요가 없을까요. 어떤 경우에 정신질환이 만성화된다고 해도 약을 먹으면 충분히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없이 일반인과 똑같이 생활할 수 있는 거예요. 이제는 관리라는 개념으로 의식을 바꿔야 합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5-12-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