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번째 장편소설 ‘나는 농담이다’ 펴낸 김중혁
소설가 김중혁(45)과 ‘농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인생의 비밀은 쓸데없는 것과 농담에 있다’고 말하는 그에게 농담이란 “살아가는 방식 중 하나”이자 “어떻게든 살아가기 위한 삶의 방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의 에세이나 소설은 농담처럼 쉽게 던지는 듯하지만, 삶에 관한 사유가 슬며시 깃들어 있다.김중혁 작가는 “내가 추구하는 소설은 꽉 짜여지고 진한 세계가 아니라 약간 느슨한 농담 같은 것”이라며 “어딘가에 살고 있을 수 있는 느슨한 사람들의 이야기로 읽어 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민음사 제공
민음사 제공
사고로 우주 미아가 된 우주 비행사 이일영, 어머니를 잃은 스탠드업 코미디언 송우영은 닮은 듯 닮지 않은 이부(異父)형제다. 소설은 일영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을 앞두고 지구로 보내는 메시지와 우영이 주변 사람들을 소재로 한 농담이 교차하며 결말로 나아간다.
작가는 “같은 상황에 처해 있지만 다른 두 사람은 어찌 보면 한 사람일지 모른다”며 “가족이지만 가족이라 할 수도, 핏줄을 나누고 있지만 한 번도 만나지 못한 형제의 극단과 양면을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했다.
이런 형제를 이어 주는 끈은 죽은 어머니가 남긴 열두 통의 편지다. 어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다 편지를 발견한 우영은 일영을 향한 어머니의 그리움과 그의 사고 뒤 받은 충격을 알게 된다. 일영이 ‘실종’ 상태지만 ‘고인’이 될 것이 확실시된 상황에서였다. 하지만 스탠드업 코미디언으로 계속 말을 해야 하는 운명인 우영은 어머니, 형, 의붓아버지 등 주변인이나 성적인 소재로 농담 속을 유영한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일영 역시 지구, 더 정확히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어설픈 농담을 전하며 절망을 애써 지운다.
작가는 “너무 진지하고 심각하게 살아갈 때 받게 되는 상처를 의도적으로 피하기 위해 던지게 되는 농담과 같은 것”이라며 “이런 농담은 스스로 웃고 싶지만 웃을 수 없어 던지는 슬픈 농담인 동시에 어떻게든 살아가려는 우영의 삶의 방식”이라고 했다.
소설 속 우영은 이렇게 말한다. “저는 말 속에 살 겁니다. 말 중에서도 농담 속에서 살 겁니다. 형체는 없는데 계속 농담 속에서 부활하는 겁니다. 그럼 죽어도 여한이 없죠. 아니지, 참, 죽지 않는 거죠?”
이는 작가의 고백과도 겹친다. “문자와 문장과 문단 사이에서 죽치고 있을 작정이고, 절대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그는 “소설 속에서 살 수 있어 즐겁다”고 말한다.
결국 전해지지 못한 어머니의 편지, 연인에게 가닿지 못한 일영의 메시지는 어떤 운명을 맞을까. ‘쓰인 편지는 반드시 전달되어야 하며, 이야기는 반드시 들어야 할 사람에게 가야 한다’는 힌트 정도면 상상의 여지는 충분할 것이다. 남은 것은 하나다. 우주를 유영하듯 농담 속을 거닐며 서서히 배어드는 슬픔을 음미하는 일.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9-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