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페토 시인 첫 시집 ‘그 쇳물 쓰지 마라’
댓글 시인이 세인들의 입길에 오른 건 표제시 ‘그 쇳물 쓰지 마라’부터였다. 2010년 쇳물이 끓는 용광로에 빠져 숨진 청년에 대한 기사에 달린 그의 조시(弔詩)는 쉽게 잊힐 뻔한 죽음을 저릿하게 각인시켰다. 이 댓글 시에는 400여개의 댓글이 눈물방울처럼 달렸다. 5년 뒤 다시 그의 시를 읽으러 일부러 뉴스를 찾은 누리꾼도 있었다.
‘광염(狂焰)에 청년이 사그라졌다./그 쇳물은 쓰지 마라.//자동차를 만들지 말 것이며/가로등도 만들지 말 것이며/철근도 만들지 말 것이며/바늘도 만들지 마라.//한이고 눈물인데 어떻게 쓰나.//그 쇳물 쓰지 말고/맘씨 좋은 조각가 불러/살았을 적 얼굴 흙으로 빚고/쇳물 부어 빗물에 식거든/정성으로 다듬어/정문 앞에 세워주게.//가끔 엄마 찾아와/내 새끼 얼굴 한번 만져보자, 하게.’(그 쇳물 쓰지 마라)
지난 6년간 그가 뉴스에 단 댓글 시는 120여편에 이른다. 건물 외벽을 청소하다 추락사한 중년 가장, 구제역 파동에 생매장된 가축들, 임금 체불에 맞서 고공 시위를 펼치는 일용직 노동자, 새엄마의 폭행으로 숨진 여덟 살 아이 등이 그의 시의 주인공이 됐다. 시들은 개인에 몰두한 우리에게 ‘이런 현실이 부끄럽지 않느냐’고 물어왔다. 아이들 맛보이려 3만원짜리 체리 상자를 훔쳤다 입건된 엄마의 이야기에서는 질곡 같은 가난의 대물림을 환기시킨다.
‘아버지 때처럼/오늘도 더웠습니다/물려주신 가난은 넉넉했고요//체리를 훔쳤습니다/피치 못할 사정을 읍소해보고도 싶지만/나라님은 알 바 아닐 테고/가난에 관해서는/얘기 끝났다 하실 테죠//(중략)돌아가 아이들에게/벼슬 같은 가난을/세습해주어야겠습니다.’(체리와 장군)
‘40대 평범한 직장인’이라고만 밝힌 제페토 시인은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건에 대해 이렇게 썼다. “부디 살아갈 날들이 부끄럽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됩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 올 때까지 조금 더 안달하고 조금 더 악을 쓰면서요.” 그 바람이 이뤄진다면 그의 시도 무참한 것에서 나른하고 사소한 것으로 옮겨갈 수 있을 테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8-1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