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셀리나 토드 지음/서용표 옮김/클/672쪽/3만원
역사는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의 기록이다. 평범한 노동계급은 분명히 그 사회에서, 그 시대를 함께 살았음에도 역사에서 도외시되곤 했다. 다행스럽게도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지닌 역사가들이 없지 않았다. ‘민중’은 20세기를 살아온 노동계급의 숨겨진 역사를 생생한 증언과 세밀한 기록으로 되살려낸 책으로 영국 사회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계급이 1910년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이 불평등한 상황에 적응하고 저항하고 현실을 극복해 왔는지를 다룬다.
노동계급 출신 역사학자인 셀리나 토드는 자신의 가족 이야기가 20세기의 공식적인 역사책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음을 깨닫고 노동계급의 역사를 스스로 쓰기로 결심하면서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기초한 또 하나의 근대 영국사를 만들었다. 18~19세기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과정을 그려낸 역사가 에드워드 파머 톰슨의 뒤를 이어 저자는 수많은 인터뷰를 통해 격동의 20세기를 살아간 노동계급 사람들의 삶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기록했다. 책에는 입주 하인과 하녀, 공장과 상점 노동자, 탄광의 광부, 주부는 물론 이민자와 어린이까지 수많은 목소리가 등장한다. 토드는 특히 여성 노동자들이라는 주체적인 존재를 부각시키면서 기존 역사책에서 지워져 있던 그들의 역할을 되살려냈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돼 있다. 1부 ‘가내 하인, 1910~1939’에서는 20세기 초 불안정한 상황에 맞선 노동계급이 어떻게 근대적 노동계급으로서 스스로를 의식하며 변화하게 됐는지를 추적한다. 궁핍과 모멸의 시대를 지나 2부(1936~68년)는 노동계급이 민중으로서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과정을 다룬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완전고용을 이룬 노동자들은 협상력이 커지면서 복지를 요구하게 되고 노동당은 1945년 선거에서 압승을 거둔다. 전쟁 직후 노동계급의 삶이 크게 향상됐고 문화혁명을 겪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영국에서는 노동계급이 되는 것이 유행이었다. 노동계급은 번영하는 능력주의 사회를 대변했다. 그러나 많은 노동자들이 여전히 생계를 위해 일해야 하는 자신들을 중간계급으로 여기는 일은 없었다.
이후 최근까지를 다룬 3부에서는 다시 위기에 몰리면서도 전과는 다른 환경에서 새롭게 계급적 정체성을 확인해 가는 노동계급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영국 노동계급의 사회사’라는 부제가 붙은 책에 따르면 노동계급의 역사는 기득권에 맞선 분노와 저항의 역사인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 써내려 간 희망의 역사이기도 하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노동계급 출신 역사학자인 셀리나 토드는 자신의 가족 이야기가 20세기의 공식적인 역사책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음을 깨닫고 노동계급의 역사를 스스로 쓰기로 결심하면서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기초한 또 하나의 근대 영국사를 만들었다. 18~19세기 영국 노동계급의 형성 과정을 그려낸 역사가 에드워드 파머 톰슨의 뒤를 이어 저자는 수많은 인터뷰를 통해 격동의 20세기를 살아간 노동계급 사람들의 삶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기록했다. 책에는 입주 하인과 하녀, 공장과 상점 노동자, 탄광의 광부, 주부는 물론 이민자와 어린이까지 수많은 목소리가 등장한다. 토드는 특히 여성 노동자들이라는 주체적인 존재를 부각시키면서 기존 역사책에서 지워져 있던 그들의 역할을 되살려냈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돼 있다. 1부 ‘가내 하인, 1910~1939’에서는 20세기 초 불안정한 상황에 맞선 노동계급이 어떻게 근대적 노동계급으로서 스스로를 의식하며 변화하게 됐는지를 추적한다. 궁핍과 모멸의 시대를 지나 2부(1936~68년)는 노동계급이 민중으로서 본격적으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과정을 다룬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완전고용을 이룬 노동자들은 협상력이 커지면서 복지를 요구하게 되고 노동당은 1945년 선거에서 압승을 거둔다. 전쟁 직후 노동계급의 삶이 크게 향상됐고 문화혁명을 겪은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 영국에서는 노동계급이 되는 것이 유행이었다. 노동계급은 번영하는 능력주의 사회를 대변했다. 그러나 많은 노동자들이 여전히 생계를 위해 일해야 하는 자신들을 중간계급으로 여기는 일은 없었다.
이후 최근까지를 다룬 3부에서는 다시 위기에 몰리면서도 전과는 다른 환경에서 새롭게 계급적 정체성을 확인해 가는 노동계급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영국 노동계급의 사회사’라는 부제가 붙은 책에 따르면 노동계급의 역사는 기득권에 맞선 분노와 저항의 역사인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 써내려 간 희망의 역사이기도 하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8-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