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 ‘거짓말이다’ 펴낸 김탁환
故 김관홍씨 증언 토대로 집필“그가 말한 고통 구체적으로 썼죠… 참사 진실 왜곡없이 기억했으면”
인세는 진상 규명 활동에 기부
김탁환(48) 작가가 ‘한 사람’을 위한 소설을 썼다. 그 한 사람은 지난 6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 김관홍 잠수사이다. 새 장편 ‘거짓말이다’(북스피어)가 그의 증언이 재료이자 동력인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그 한 사람은 바로 당신이기도 하다. 세월호 참사를 왜곡 없이 기억해야 할 이들이 독자들이기 때문이다.
김탁환 작가
“세월호와 관련된 일들에서 제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김관홍이 제 등을 민 것 같아요. ‘형은 이거 해야 돼’ 하고요. 퇴고하는 과정에서 그가 그렇게 돼서(자살을 해서) 힘들었지만 그가 좋아했던 결말로 책이 완성됐으니 보여주고 왔죠.”
지난 5월 동거차도에 함께 들어간 김탁환(왼쪽) 작가와 고 김관홍 잠수사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북스피어 제공
북스피어 제공
그는 왜 주종목인 역사가 아닌 현재를 소설로 옮겼을까. 그것도 왜 가장 첨예하고 아프고 무거운 주제인 ‘세월호’였을까.
“이전에 세월호 관련 책들이 나오면 독자들이 슬퍼서 못 보겠다고 했죠. 전 독자들이 제 소설을 읽고 화를 냈으면 좋겠어요. 시신을 수습하러 갔던 잠수사들을 비인간적으로 취급하고 그것도 밖에 알리지 못하게 하고 숨기려 하고…. 그래서 독자들에게 ‘뜨겁게 읽고 차갑게 분노해 달라’고 당부합니다. 너무 화가 나서 뭔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게끔요.”
결국 진실을 가리려는 거짓말에 대한 분노가 동력이 된 셈이다. 세월호 사건의 참과 거짓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책임감도 글을 밀고 나가게 한 또 다른 힘이었다.
“인터뷰를 할 때 김관홍 잠수사도 유족들도 가장 많이 하는 말이 ‘거짓말’이란 단어였어요. 우리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잊지 않겠습니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기억한다고 했을 때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304명이라는 희생자 숫자를 기억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에요. 고통받는 사람과 방조하고 이 사태를 낳은 사람과 시스템, 둘 다를 바르게 기억해야죠.”
작가는 소설을 한창 퇴고하던 지난 6월 김관홍 잠수사의 부음을 들었다. 집필을 마치는 7월 함께 전남 진도 동거차도에 가자던 그였다. 작가는 당시 스미던 후회를 이렇게 돌이켰다.
‘열흘 동안 작업실에 틀어박혀 소설을 퇴고할 것이 아니라, 김관홍 잠수사와 만나서 이 소설 속에 담긴 문제들을 더 논의했더라면, 그랬더라면……. 김관홍 잠수사 덕분에 시야 제로인 심해에서도 무엇인가를 찾아 함께 머무는 법을 배웠다.’(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이번 책의 인세를 모두 세월호 진상 규명 활동에 기부한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7-2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