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길을 가다/장 지글러 지음/모명숙 옮김/갈라파고스/384쪽/1만 8000원
학력 인플레는 점점 심해지는데 진정한 지식인을 찾아보기 힘든 세상이다.
그래도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조금씩이라도 진보할 수 있었던 것은 통찰과 혜안을 지닌 실천적 지식인들이 있었던 덕분이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로 불평등으로 인한 기아문제에 경종을 울린 장 지글러가 그중 한 명이다.
‘인간의 길을 가다’는 평생을 불의에 맞서 살아온 지글러의 지적 원동력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 그를 팔십 평생 동안 지치지 않고 실천적 지식인으로 살아가게 했는지를 보여주는 인문학적 자서전이다. 지글러는 지식인의 역할을 묻는 것으로 책을 시작한다.
지글러는 기존의 사회제도를 개선하는 데 힘을 쏟는 것을 지식인의 중요한 역할로 규정하고 지적 거인들의 시대정신을 추적해 감으로써 지식인의 책무를 이야기한다. “지적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더 멀리 세상을 바라볼 수 있었다”고 토로하는 그는 볼테르, 루소, 마르크스, 막스 베버, 루카치, 조르주 뒤비, 그람시, 호르크하이머, 피에르 부르디외 등 자신의 지적 토양을 이루게 해 준 사상가들의 시대정신을 더듬어 간다. 여기에 더해 지적 거장들의 시대에 대한 문제의식을 끌어와 현재 세계의 현안을 재해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루소의 ‘인간불평등 기원론’의 논의를 통해 불평등의 문제를 고찰한 뒤 논의를 현재의 세계 질서로 이어가는 식이다. 극명하게 드러나는 인간들 간의 불평등을 현재의 경제 질서에서 찾은 지글러는 “오늘날에는 식량 생산량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살 돈이 없어 식량을 구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라며 “현재의 농업생산력 수준은 120억명을 부양할 수 있음에도 영양실조와 만성적인 굶주림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고발한다. 그는 마르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등의 논의를 끌어와 현대 상품사회의 심각한 모순인 의식의 소외문제를 다룬다.
그는 위대한 사상의 재해석을 통해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이끌어 내고 세상을 어떻게 바꿔 나가야 할지를 고민한다. “이성으로 비관하되 의지로 낙관하라”는 그람시의 말처럼 그는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현재의 구조를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가 글로벌 금융자본의 세계질서 속에서 발생하는 불평등 구조와 빈곤에 대한 문제의식을 고집스럽게 붙들고 평생 씨름하는 이유다.
지글러의 지적 연대기는 지금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해야 하며 지금 서 있는 자리에서 무엇을 실천해야 하는지를 깨닫게 해 준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그래도 인류가 멸망하지 않고 조금씩이라도 진보할 수 있었던 것은 통찰과 혜안을 지닌 실천적 지식인들이 있었던 덕분이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로 불평등으로 인한 기아문제에 경종을 울린 장 지글러가 그중 한 명이다.
‘인간의 길을 가다’는 평생을 불의에 맞서 살아온 지글러의 지적 원동력이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 그를 팔십 평생 동안 지치지 않고 실천적 지식인으로 살아가게 했는지를 보여주는 인문학적 자서전이다. 지글러는 지식인의 역할을 묻는 것으로 책을 시작한다.
지글러는 기존의 사회제도를 개선하는 데 힘을 쏟는 것을 지식인의 중요한 역할로 규정하고 지적 거인들의 시대정신을 추적해 감으로써 지식인의 책무를 이야기한다. “지적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더 멀리 세상을 바라볼 수 있었다”고 토로하는 그는 볼테르, 루소, 마르크스, 막스 베버, 루카치, 조르주 뒤비, 그람시, 호르크하이머, 피에르 부르디외 등 자신의 지적 토양을 이루게 해 준 사상가들의 시대정신을 더듬어 간다. 여기에 더해 지적 거장들의 시대에 대한 문제의식을 끌어와 현재 세계의 현안을 재해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루소의 ‘인간불평등 기원론’의 논의를 통해 불평등의 문제를 고찰한 뒤 논의를 현재의 세계 질서로 이어가는 식이다. 극명하게 드러나는 인간들 간의 불평등을 현재의 경제 질서에서 찾은 지글러는 “오늘날에는 식량 생산량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살 돈이 없어 식량을 구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라며 “현재의 농업생산력 수준은 120억명을 부양할 수 있음에도 영양실조와 만성적인 굶주림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고 고발한다. 그는 마르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 등의 논의를 끌어와 현대 상품사회의 심각한 모순인 의식의 소외문제를 다룬다.
그는 위대한 사상의 재해석을 통해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이끌어 내고 세상을 어떻게 바꿔 나가야 할지를 고민한다. “이성으로 비관하되 의지로 낙관하라”는 그람시의 말처럼 그는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현재의 구조를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가 글로벌 금융자본의 세계질서 속에서 발생하는 불평등 구조와 빈곤에 대한 문제의식을 고집스럽게 붙들고 평생 씨름하는 이유다.
지글러의 지적 연대기는 지금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해야 하며 지금 서 있는 자리에서 무엇을 실천해야 하는지를 깨닫게 해 준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5-0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