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소설가/무라카미 하루키 지음/양윤옥 옮김/현대문학/336쪽/1만 4000원
당신은 ‘하루키스트’인가 아닌가. 그렇든 아니든 상관없다. 어떤 일에 간절히 몰두하는 상태이든 뭘 할지 헤매는 상태이든 상관없다. 생활인이자 직업인으로서 우리는 삶에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가. 여기에 대해 무라카미 하루키가 작정하고 입을 열었다. 35년간 소설이라는 링에서 분투해 온 ‘직업인’으로서.
일본에서는 지난해 10월 발표된 에세이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하루키는 “내가 어떻게 소설을 써 왔는가”를 말한다. 작가 지망생이나 작가들에게 유용한 팁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쓴다’는 행위를 키워드로 한 12개의 장을 하나씩 통과하다 보면, 이것은 결국 ‘산다’는 행위에 대한 조언임이 드러난다. 스스로의 의지와 신체를 단단히 가꾸면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의 의미와 가치를 설파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뿐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모색하는 사람에게 종합적인 힌트와 격려를 건네주는 책”(시바타 모토유키 전 도쿄대 영문학과 교수), “양질의 문학론인 동시에 마음을 열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젊은 세대에게 묻는 소설”(홋카이도 신문)이라는 서평이 나온 이유다.
하루키는 “이 책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삼십오년을 이렇게 직업적인 소설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그 놀람에 대한 것이고, 그 놀람을 최대한 순수하게 그대로 유지하고 싶다는 강한 마음에 대한 것”이라며 “나의 삼십오년 동안의 인생은 결국 그 놀람을 지속시키기 위한 간절한 업(業)이었는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이 말대로 ‘쿨하고 자유로워 보이는’ 외견과는 달리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글쓰기에 매달렸는지 글에서 드러난다. 하루키가 정의하는 소설가란 따분하고 끔찍하다. “혼자 방에 틀어박혀 ‘이것도 아니네, 저것도 아니네’ 하고 오로지 문장을 주물럭거리는” 사람이거나 “엄청 손은 많이 가면서 한없이 음침한 일”을 하는 사람이다. 특유의 자신 있는 어투로 기존의 작가나 문청들을 좌절시킬 말도 서슴지 않는다. “한 번도 슬럼프를 겪어본 적이 없다”거나 “소설이 안 써져 고생한 경험도 없다”는 얘기들이다.
그의 글쓰기 동력에는 ‘풍성하고 자발적인 기쁨’, 그리고 잘 단련된 신체가 있었다. 매일 한 시간씩 뛰는 것으로 유명한 그는 장편을 쓸 때도 장거리 주자처럼 끈질기고 성실한 호흡으로 내달린다. 매일 하루 200자 원고지 20매를 꼭 채운다는 것.
음악 같은 ‘하루키 문체’의 비밀도 드러낸다. 일본어로 쓴 소설을 영어로 번역한 뒤 그걸 다시 일본어로 옮긴다고. 그러면 문장은 짧아지고 군더더기는 사라진다. 그 빈자리에 간결한 문장과 ‘심플한’ 단어, 음악적 리듬이 태어난다. 이를 두고 작가는 후배들에게 “자신만의 문체와 언어를 개발하라”고 조언한다. 그렇게 쓴 글을 집요하게 ‘망치질’하라는 가르침도 잊지 않는다. “제정신이 아닌 인간에게 제정신인 인간의 의견은 대체적으로 중요한 것”이라면서.
일본 문단에서 혹평을 한 몸에 받았던 그는 섭섭함, 불쾌함, 그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솔직하게 내보인다. “지금 돌아보면 동시대 일본 문학 관계자들(작가, 비평가, 편집자 등)이 느꼈던 욕구불만의 발산 같은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른바 주류파 순문학이 그 존재감이나 영향력을 급속히 잃어가는 것에 대한 ‘문학계’ 내부의 불만, 울결(鬱結)입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당신은 ‘하루키스트’인가 아닌가. 그렇든 아니든 상관없다. 어떤 일에 간절히 몰두하는 상태이든 뭘 할지 헤매는 상태이든 상관없다. 생활인이자 직업인으로서 우리는 삶에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가. 여기에 대해 무라카미 하루키가 작정하고 입을 열었다. 35년간 소설이라는 링에서 분투해 온 ‘직업인’으로서.
노벨문학상 단골 후보로 입길에 오르내리는 무라카미 하루키는 책에서 “자신이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실감, 그 의미를 정당하게 평가해주는 독자가 존재한다는 실감만 있다면 상이라는 건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고 말한다. 사진은 2014년 7월 독일 베를린에서 독일 일간지 디벨트가 주관하는 벨트문학상을 받고 포즈를 취한 모습.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하지만 ‘쓴다’는 행위를 키워드로 한 12개의 장을 하나씩 통과하다 보면, 이것은 결국 ‘산다’는 행위에 대한 조언임이 드러난다. 스스로의 의지와 신체를 단단히 가꾸면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의 의미와 가치를 설파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쓰고자 하는 사람뿐 아니라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모색하는 사람에게 종합적인 힌트와 격려를 건네주는 책”(시바타 모토유키 전 도쿄대 영문학과 교수), “양질의 문학론인 동시에 마음을 열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젊은 세대에게 묻는 소설”(홋카이도 신문)이라는 서평이 나온 이유다.
이 말대로 ‘쿨하고 자유로워 보이는’ 외견과는 달리 그가 얼마나 치열하게 글쓰기에 매달렸는지 글에서 드러난다. 하루키가 정의하는 소설가란 따분하고 끔찍하다. “혼자 방에 틀어박혀 ‘이것도 아니네, 저것도 아니네’ 하고 오로지 문장을 주물럭거리는” 사람이거나 “엄청 손은 많이 가면서 한없이 음침한 일”을 하는 사람이다. 특유의 자신 있는 어투로 기존의 작가나 문청들을 좌절시킬 말도 서슴지 않는다. “한 번도 슬럼프를 겪어본 적이 없다”거나 “소설이 안 써져 고생한 경험도 없다”는 얘기들이다.
그의 글쓰기 동력에는 ‘풍성하고 자발적인 기쁨’, 그리고 잘 단련된 신체가 있었다. 매일 한 시간씩 뛰는 것으로 유명한 그는 장편을 쓸 때도 장거리 주자처럼 끈질기고 성실한 호흡으로 내달린다. 매일 하루 200자 원고지 20매를 꼭 채운다는 것.
음악 같은 ‘하루키 문체’의 비밀도 드러낸다. 일본어로 쓴 소설을 영어로 번역한 뒤 그걸 다시 일본어로 옮긴다고. 그러면 문장은 짧아지고 군더더기는 사라진다. 그 빈자리에 간결한 문장과 ‘심플한’ 단어, 음악적 리듬이 태어난다. 이를 두고 작가는 후배들에게 “자신만의 문체와 언어를 개발하라”고 조언한다. 그렇게 쓴 글을 집요하게 ‘망치질’하라는 가르침도 잊지 않는다. “제정신이 아닌 인간에게 제정신인 인간의 의견은 대체적으로 중요한 것”이라면서.
일본 문단에서 혹평을 한 몸에 받았던 그는 섭섭함, 불쾌함, 그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솔직하게 내보인다. “지금 돌아보면 동시대 일본 문학 관계자들(작가, 비평가, 편집자 등)이 느꼈던 욕구불만의 발산 같은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른바 주류파 순문학이 그 존재감이나 영향력을 급속히 잃어가는 것에 대한 ‘문학계’ 내부의 불만, 울결(鬱結)입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4-3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