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밥통 싫다며 서울대 교수 자리 박찬 로버트 파우저 前 교수… 2년여 만에 한국 방문
어느 날 문득 서울대 교수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재미없다는 게 이유였다. 정년까지 철밥통처럼 자리만 지키고 앉아 있기 싫다고 유창한 한국어로 말했다. 2008년 서울대 국어교육과 교수로 임용돼 한국어를 가르치는 첫 외국인이 된 언어학자 로버트 파우저(55) 전 교수 얘기다. 서울 서촌에 한옥 ‘어락당’을 짓고 한옥 보존 운동을 하던 그는 2014년 홀연히 서울에서의 삶을 정리하고 고향인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로 떠났다.로버트 파우저 전 서울대 국어교육학과 교수가 30일 서울 광화문에서 신간 ‘미래 시민의 조건’을 들고 활짝 웃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한국어로 쓴 ‘미래 시민의 조건’ 책 발간
30일 파우저 전 교수를 광화문의 한 찻집에서 만났다. 그는 “지난해 가을부터 책을 쓰기 시작했는데 헬조선이라는 말을 듣자 곧바로 이해가 됐다”며 “한국 청년들의 상실감과 좌절감을 알고 있기 때문에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다”고 운을 뗐다. 파우저 전 교수는 미국 역시 적지 않은 사람들이 ‘헬미국’이라고 느낀다고 말한다. 그 근거로 공화당 경선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대선 후보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현상을 들었다. 트럼프의 거침없고 도발적인 언행이 미국인들에게 인기를 모으는 건 미국 사회 역시 양극화와 성장 둔화 등으로 정체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에게 ‘한국인이 모르는 민주주의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고 직설적으로 물었다. 그러자 “한국에서 정치는 갑(甲)이 아니라 을(乙)이 하는 것 같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이번 4·13총선 후보 중 40% 정도가 전과 기록을 가진 범죄자라고 하는데 이런 사람들이 낙천되지 않고 국회의원 후보가 되는 걸 보면 한국 사회의 기득권은 회전문처럼 돌고 있는 게 아닌가 한다”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갑은 시민들인데 을들이 그들만의 정치를 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청년들의 사회 참여가 부족한 것이 헬조선의 원인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파우저 전 교수는 “성공하기 위해 여러 스펙이 필요하겠지만 한국 청년들을 보면 꿈을 잃은 것 같고 사회를 바꿔야 한다는 희망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초월하는 스펙을 갖추는 데 급급한 모습을 보인다”며 “탈조선을 하지 말고 한국에 남아 이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꿔 나가 보라고 말하고 싶다”고 전했다.
●성공의 서열화 공식 계속 작동할까 의심
파우저 전 교수는 1983~84년 한국을 처음 방문한 이후 1987~88년 카이스트 영어 강사, 1988~89년 고려대 영어 강사, 2008년 이후 서울대 교수를 역임하며 총 13년 동안 한국에서 살았다. 파란 눈의 이방인으로서 그가 본 한국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경제적으로나 민주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둔 국가입니다. 하지만 모든 게 서열이 뚜렷해요. 짧은 시간 동안 성공의 원인이 될 수 있었지만 더이상 고성장을 할 수 없는 패러다임이 바뀐 시대에서는 그와 같은 성공의 서열화와 소위 강남 입성이라는 코리안드림 공식이 계속 작동할 수 있을지, 사회 전체가 성장해 나가는 방식이 될 수 있을지 의문스럽습니다.”
그는 한 가지를 꼭 당부했다. “제가 무슨 대단한 학자고 외국인이라서 한국 사람들을 계몽하기 위해 책을 쓴 것이 아니에요. 내가 사랑하고 아끼는, 그리고 깊은 인연을 맺은 한국과 소통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뿐입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3-3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