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분기/케네스 포메란츠 지음/김규태 외 2명 옮김/에코리브르/686쪽/3만 8000원
동양은 가난하고, 서양은 부유하다. 너무도 당연해서 너나없이, 또 일말의 의심 없이 수용해야 하는 일종의 ‘진리’처럼 여겨진다. 한데 왜, 언제부터 경제력 격차가 생기기 시작했는가를 물으면 답변이 궁색해진다. 이에 대해 경제사학계에서는 1800년대 전후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을 단초로 본다. 바로 이 시기, 그러니까 산업혁명 이후 동서양 간 경제 성장률과 소득격차가 확대된 시기를 일컫는 말이 바로 ‘대분기’다.
그런데 ‘대분기’를 이끌었던 요인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린다. 일반적으로는 유럽 중심의 역사관이 주류를 이뤘다. 동양에서조차 구체적인 요인에 대한 의심 없이 이전부터 유럽이 자본과 기술 등 여러 면에서 ‘당연히’ 우위를 점해왔을 것이라 생각했다. 한데 새 책 ‘대분기’는 달랐다. 저자는 ‘대분기’가 이행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환경적 제약’을 꼽았다.
18세기 무렵 중국과 유럽(보다 정확히는 영국)은 동등한 위치에 있었고, 중세시대까지는 오히려 중국이 더 우세했다. 다만 영국은 우연히 석탄을 구하기 쉬운 지리적 요건을 갖고 있었고, 식민지 경영을 통해 값싼 원료와 노동력을 갖게 되는 ‘행운’까지 겹쳐지면서 중국과 큰 격차를 벌리며 도약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책은 이처럼 유럽 중심의 역사를 비판하고, 동시에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저자가 주목한 건 18세기 서유럽(주로 영국)과 중국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경제 발전과 쇠퇴다. 두 지역을 탐색대상으로 꼽은 건 당시 경제적으로 가장 발달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장은 몇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서유럽의 패권을 결정지은 대분기의 시점은 기껏해야 1750년대 중반 정도다. 산업혁명의 성공 원인을 근대 초기(15세기 전후)나 그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유럽의 우위나 장점을 찾는 서구 학계의 전통적 시각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저자는 “1750년 무렵에도 중국이나 일본, 인도 등의 선진 지역과 비교하면 영국(과 서유럽)의 우위라는 것은 결코 존재한 적이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다. 다만 영국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석탄(노천 탄광)이 있었고, 이 같은 천연자원이 증기 기관의 발명 및 이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산업혁명과 기술 혁신으로 연결됐다는 것이다. 결국 책의 핵심은 16~18세기에 아시아 국가들도 서유럽 못지않은 경제 발전 과정에 있었다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동양은 가난하고, 서양은 부유하다. 너무도 당연해서 너나없이, 또 일말의 의심 없이 수용해야 하는 일종의 ‘진리’처럼 여겨진다. 한데 왜, 언제부터 경제력 격차가 생기기 시작했는가를 물으면 답변이 궁색해진다. 이에 대해 경제사학계에서는 1800년대 전후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을 단초로 본다. 바로 이 시기, 그러니까 산업혁명 이후 동서양 간 경제 성장률과 소득격차가 확대된 시기를 일컫는 말이 바로 ‘대분기’다.
18세기 무렵 중국과 유럽(보다 정확히는 영국)은 동등한 위치에 있었고, 중세시대까지는 오히려 중국이 더 우세했다. 다만 영국은 우연히 석탄을 구하기 쉬운 지리적 요건을 갖고 있었고, 식민지 경영을 통해 값싼 원료와 노동력을 갖게 되는 ‘행운’까지 겹쳐지면서 중국과 큰 격차를 벌리며 도약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책은 이처럼 유럽 중심의 역사를 비판하고, 동시에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저자가 주목한 건 18세기 서유럽(주로 영국)과 중국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경제 발전과 쇠퇴다. 두 지역을 탐색대상으로 꼽은 건 당시 경제적으로 가장 발달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장은 몇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서유럽의 패권을 결정지은 대분기의 시점은 기껏해야 1750년대 중반 정도다. 산업혁명의 성공 원인을 근대 초기(15세기 전후)나 그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유럽의 우위나 장점을 찾는 서구 학계의 전통적 시각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저자는 “1750년 무렵에도 중국이나 일본, 인도 등의 선진 지역과 비교하면 영국(과 서유럽)의 우위라는 것은 결코 존재한 적이 없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다. 다만 영국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석탄(노천 탄광)이 있었고, 이 같은 천연자원이 증기 기관의 발명 및 이용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산업혁명과 기술 혁신으로 연결됐다는 것이다. 결국 책의 핵심은 16~18세기에 아시아 국가들도 서유럽 못지않은 경제 발전 과정에 있었다는 것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3-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