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의 근대 일상의 모험/김지영 지음/돌베개/295쪽/1만 7000원
문제적 시대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근대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무엇일까. 김지영 대구가톨릭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쓴 이 책은 연애·청춘·명랑·괴기·탐정 등 일상적인 개념을 통해 근대의 삶과 생활의 기저에 있는 정치적이고 문화적인 힘을 통찰력 있게 살펴본다.
연애는 한국의 근대를 논의하는 데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다. 한국 근대 문학의 시원으로 평가받는 이광수나 염상섭 모두 문명의 상징으로 자유연애를 주창했다. 하지만 저자는 자유연애가 사랑과 연애의 발견을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부모로 상징되는 전통과 새로운 세대 간의 갈등과 투쟁을 보여준다고 해석한다. 근대의 영화나 통속 소설 속의 청춘 서사가 과다하게 감상적이고 비극적이었던 데도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식민지 현실과 세계 경제 공황의 암울한 상황 속에서 젊은이들에게 주어진 낭만과 해방은 갑작스럽고 이를 선용할 만한 조건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젊음과 낭만의 표상인 청춘에 환멸과 냉소, 절망 등 부정적이고 퇴행적인 이미지가 덧붙여진 것이다.
명랑의 의미 또한 근대적 관점에서 재해석된다. 근대 이전에는 명랑이 ‘날씨가 좋다’ 등의 자연적 상태를 가리키는 표현이었지만 근대에 이르러서는 ‘성격이 좋다’, ‘분위기가 좋다’ 등 사회적 상태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책에 따르면 1940년대 식민당국은 사회 분위기를 ‘정화’한다는 명목 아래 명랑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전면에 내세웠고, 이는 훗날 권위주의 정부에서도 비슷하게 차용됐다. 또한 일제시대에 탐정 소설이 인기를 끈 이유는 과학적 지식과 논리라는 근대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동경이 자리잡고 있었다. 평범하고 반복되는 일상을 개념사적인 방법론으로 근대의 기억을 복원하고 내부적 투쟁과 갈등 과정을 재조명한 독특한 책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연애는 한국의 근대를 논의하는 데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다. 한국 근대 문학의 시원으로 평가받는 이광수나 염상섭 모두 문명의 상징으로 자유연애를 주창했다. 하지만 저자는 자유연애가 사랑과 연애의 발견을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부모로 상징되는 전통과 새로운 세대 간의 갈등과 투쟁을 보여준다고 해석한다. 근대의 영화나 통속 소설 속의 청춘 서사가 과다하게 감상적이고 비극적이었던 데도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식민지 현실과 세계 경제 공황의 암울한 상황 속에서 젊은이들에게 주어진 낭만과 해방은 갑작스럽고 이를 선용할 만한 조건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젊음과 낭만의 표상인 청춘에 환멸과 냉소, 절망 등 부정적이고 퇴행적인 이미지가 덧붙여진 것이다.
명랑의 의미 또한 근대적 관점에서 재해석된다. 근대 이전에는 명랑이 ‘날씨가 좋다’ 등의 자연적 상태를 가리키는 표현이었지만 근대에 이르러서는 ‘성격이 좋다’, ‘분위기가 좋다’ 등 사회적 상태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책에 따르면 1940년대 식민당국은 사회 분위기를 ‘정화’한다는 명목 아래 명랑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전면에 내세웠고, 이는 훗날 권위주의 정부에서도 비슷하게 차용됐다. 또한 일제시대에 탐정 소설이 인기를 끈 이유는 과학적 지식과 논리라는 근대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동경이 자리잡고 있었다. 평범하고 반복되는 일상을 개념사적인 방법론으로 근대의 기억을 복원하고 내부적 투쟁과 갈등 과정을 재조명한 독특한 책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6-03-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