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박상인 지음/미래를소유한사람들/244쪽/1만 4500원
휴대전화 시장의 절대 강자였던 노키아의 몰락과 2013년 이스라엘이 단행한 재벌 개혁을 통해 ‘삼성발 경제 위기’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고찰했다. 1998년 이후 전 세계 휴대전화 시장의 40% 이상(2007년 4분기)을 점유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노키아는 불과 3년 남짓한 기간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저자는 “노키아 몰락은 혁신적인 산업에서 창조적 파괴가 도전 기업들에 의해 일어나고 기존 지배적 사업자가 소멸하는 과정이었다”며 “노키아 몰락은, 기득권을 가진 지배적인 사업자는 판을 뒤집는 단절적 혁신에 소극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경제 법칙을 선명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세계 초일류 기업 삼성전자의 위기론도 줄기차게 제기되고 있다. 2012년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정상에 오른 지 2년 만인 2014년부터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과 영업이익률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노화가 자연현상이듯 창조적 파괴는 경제현상”이라며 “삼성전자도 창조적 파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노키아 몰락은 핀란드 경제 위기로 번지지 않고 새로운 벤처기업과 기업가 정신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됐지만 삼성전자의 몰락은 국가 경제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삼성전자 몰락은 삼성그룹의 수직적 계열화와 계열사 간 출자 구조를 통해 그룹 몰락으로 전이되고, 삼성그룹 몰락은 국가 경제 위기로 전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법으로 이스라엘의 재벌 개혁을 들었다. 저자는 “이스라엘의 재벌 개혁과 같은 구조적인 조치를 통해 재벌의 경제력 집중을 해소해야만 ‘삼성 리스크’를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휴대전화 시장의 절대 강자였던 노키아의 몰락과 2013년 이스라엘이 단행한 재벌 개혁을 통해 ‘삼성발 경제 위기’를 진단하고 그 해법을 고찰했다. 1998년 이후 전 세계 휴대전화 시장의 40% 이상(2007년 4분기)을 점유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노키아는 불과 3년 남짓한 기간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저자는 “노키아 몰락은 혁신적인 산업에서 창조적 파괴가 도전 기업들에 의해 일어나고 기존 지배적 사업자가 소멸하는 과정이었다”며 “노키아 몰락은, 기득권을 가진 지배적인 사업자는 판을 뒤집는 단절적 혁신에 소극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경제 법칙을 선명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3-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