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유대인·아랍인에 ‘이중계약’ 발단… 두 국가 해법에도 ‘화약고’ 전락

英, 유대인·아랍인에 ‘이중계약’ 발단… 두 국가 해법에도 ‘화약고’ 전락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5-02-05 23:50
수정 2025-02-05 23: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자지구의 역사적 배경

1947년 유엔총회서 두 국가로 할당
‘가자 점령’은 이스라엘 극우들 숙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미국의 가자지구 소유·관리·개발 및 팔레스타인 주민 강제 이주 방안은 그간 미국의 중동 정책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팔레스타인 문제 해법과도 상반된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 대통령 특유의 협상 전략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팔레스타인은 물론 아랍 국가들의 반발을 사 중동 지역 긴장을 한층 높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을 종합하면 약 2000년 전 유대인들이 로마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쫓겨나 전 세계 곳곳에서 흩어져 사는 동안 아랍인들이 이곳에 정착해 생활해 왔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은 아랍인들의 협력을 얻고자 1915년 ‘맥마흔·후세인 협정’을 맺고 독립국을 약속했다. 그러나 1917년 ‘벨푸어 선언’을 통해 유대인 국가 건설도 지지했다. 영국의 ‘이중계약’에 따라 수많은 유대인이 팔레스타인으로 몰려들었고 이 지역이 ‘화약고’로 바뀌는 계기가 됐다.1947년 유엔총회는 팔레스타인의 56%를 유대 국가에, 44%를 아랍 국가에 할당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의 88%를 차지하던 아랍인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7%만 차지하던 유대인은 이를 받아들인 뒤 미국의 전폭적 지지를 등에 업고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했다.

예로부터 가자지구는 이스라엘 극우세력에게 성서에서 차지하라고 기록된 ‘약속의 땅’으로 통한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지지하는 극우 진영은 팔레스타인 주민을 내쫓고 재점령할 것을 주장했다. 이른바 ‘시오니즘’이다.

그간 미 행정부는 1993년 오슬로 협정을 통해 ‘두 국가 해법’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공존을 위한 보편적 접근법으로 굳혀 왔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합의를 통해 서로 주권을 지닌 독립국임을 인정한다는 구상이다.

그런데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제3국으로 이주시킨다는 미국의 구상은 사실상 이스라엘 극우 진영의 숙원을 풀어 주는 것으로 간주할 여지가 크다. 트럼프 행정부가 일방적으로 이스라엘 편을 드는 모습을 두고 ‘미국의 소프트파워 훼손’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2025-02-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