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평창동계올림픽을 찾았던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이 “미국 정부는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북·미 대화의 실타래가 풀릴지 주목된다. 펜스 부통령은 다만 북한 정권이 비핵화를 위한 단계로 나아가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면 ‘최대 압박’을 지속할 것이라고 경고해 본격적인 협상까지는 험난한 여정이 예상된다.
펜스 부통령은 지난 10일 미국으로 돌아가는 전용기(에어포스2)에서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 조시 리긴과 인터뷰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이 먼저 대북 포용 정책에 나서고, 미국도 뒤따를 가능성을 열어 둔다’는 외교적 관여 조건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선 비핵화, 후 대화’를 강조한 미국의 대북 기조가 달라진 것이다. 펜스 부통령은 “최대 압박 전략과 관여를 동시에 구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펜스 부통령은 “그들(북한)이 실제 비핵화를 위한 의미 있는 행동을 할 때까지 미국과 동맹국들이 ‘최대 압박’을 중단하지 않는다는 게 중요한 점”이라면서 “최대 압박 전략을 지속하고 강화하지만 대화를 원하면 대화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WP는 지난주 한국에서 미국과 북한 대표단의 상호 냉기류 이면에서 조건 없는 북·미 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외교 가능성을 위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이 “단지 대화를 했다는 이유로 경제·외교적 혜택을 얻을 수 없고 비핵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밟아야 한다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말할 것”이라고 펜스 부통령에게 약속했고, 펜스 부통령은 이 말을 듣고 북한에 대한 관여 정책을 지지할 수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하지만 북한과 미국이 서로 상대방이 손 내밀기를 기다리는 상황에서 북한이 선뜻 북·미 대화에 나서고 비핵화 협상에 응할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12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미국과 진지한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북한에 달려 있다”면서 “현 상황이 외교적 과정의 시작인지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한편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한정 정치국 상무위원이 방한 기간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났다고 밝혔다.
북·중 최고 지도부 인사가 만난 것은 2015년 10월 10일 류윈산 당시 상무위원이 방북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만난 뒤 처음이다. 이에 따라 경색됐던 북·중 관계가 화해 국면으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오는 13일 일본을 방문하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WP는 지난주 한국에서 미국과 북한 대표단의 상호 냉기류 이면에서 조건 없는 북·미 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외교 가능성을 위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이 “단지 대화를 했다는 이유로 경제·외교적 혜택을 얻을 수 없고 비핵화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밟아야 한다는 점을 북한에 분명히 말할 것”이라고 펜스 부통령에게 약속했고, 펜스 부통령은 이 말을 듣고 북한에 대한 관여 정책을 지지할 수 있었다고 WP는 전했다.
하지만 북한과 미국이 서로 상대방이 손 내밀기를 기다리는 상황에서 북한이 선뜻 북·미 대화에 나서고 비핵화 협상에 응할지 장담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12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미국과 진지한 대화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결정하는 것은 북한에 달려 있다”면서 “현 상황이 외교적 과정의 시작인지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한편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한정 정치국 상무위원이 방한 기간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났다고 밝혔다.
북·중 최고 지도부 인사가 만난 것은 2015년 10월 10일 류윈산 당시 상무위원이 방북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만난 뒤 처음이다. 이에 따라 경색됐던 북·중 관계가 화해 국면으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2-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