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변국 구도 급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 핵 문제를 놓고 ‘찰떡궁합’을 과시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의 구도가 바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시’(트럼프+시진핑) 현상에 따른 변화로 분석된다. 북핵을 둘러싼 미·중·러 3강의 구도는 전통적으로 미국의 강공에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 편을 드는 양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이 미국과 보조를 맞추고 러시아는 북한에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美·中 최근 한 달새 초유의 접촉”
중국 내부에서는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의 밀착을 중·미 관계의 ‘질적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북한을 어느 정도 포기하는 게 오히려 국익에 이롭다는 논리가 확산하고 있는 것이다. 관영 환구시보는 25일 “한 달 동안 한 차례의 정상회담과 두 차례의 통화가 이뤄진 것은 중·미 관계에서 초유의 일”이라면서 “북한은 한발 후퇴해야 생존의 길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일보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미디어인 협객도는 “중·미 양국의 북핵 해결 노력이 ‘회담’에서 ‘행동’으로 차원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의 밀착은 중국의 북한에 대한 정책이 근본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준다”면서 “미국보다 오히려 중국이 무역 마찰 등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을 협상 카드로 사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사회과학원 리원 연구원은 “미국이 군사 행동을 해도 중국은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과 함께 떠올랐던 ‘트럼푸틴’(트럼프+푸틴) 현상은 크게 약화됐다. 러시아가 지원하는 시리아 정부군을 미국이 폭격한 게 결정적인 원인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러 관계가 오바마 행정부 때보다 오히려 후퇴해 최악이 됐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이 지난 7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리아 폭격을 찬성한 것이 알려지면서 중·러 관계도 냉랭해졌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중·미 견제 카드로 북한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는 5월부터 나진항과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화물 여객선의 정기항로를 신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0여명의 승객과 1500t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만경봉호가 월 6회씩 왕복 운항할 예정이다. 북한의 자유경제무역지대인 나선 경제특구와 러시아의 극동 지역은 이미 철도로 연결돼 있다. 여기에 항로까지 개설되면 러시아를 향한 북한 노동자와 물자의 수송이 강화될 전망이다.
●北·러 접촉은 美·中 견제카드 분석
러시아는 지난 1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규탄하는 성명을 채택하는 것을 거부했다. 성명 초안에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문구가 빠졌다는 게 러시아의 주장이었다. 늘 ‘대화를 통한 해결’을 주장하던 중국은 흔쾌히 동의했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북한에 원유 공급을 중단하면 러시아에서 들여올 가능성도 있다”면서 “중국이 대북 제재의 구멍을 틀어막으면 러시아가 대신 뚫어 줄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7-04-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