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는 왜 러시아에 초강수뒀나… 시리아 둘러싼 이해충돌 탓

터키는 왜 러시아에 초강수뒀나… 시리아 둘러싼 이해충돌 탓

입력 2015-11-25 15:44
수정 2015-11-25 15: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리아 난민·쿠르드족 독립 우려, 러시아 개입으로 악화 가능성”시리아사태 평화해결보다는 알아사드 정권 전복에만 관심”

터키가 24일(현지시간) 자국 영공 침범을 구실로 러시아 전투기를 격추하는 초강수를 둔 배경에는 시리아 난민사태와 쿠르드족 독립 우려라는 자국의 이해관계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터키는 지난 2011년부터 인접국 시리아의 내전으로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는 바람에 골머리를 앓아왔다.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이후 터키로 흘러온 시리아 난민은 무려 20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시리아 내 쿠르드족이 내전을 틈타 시리아와 터키 국경지대에 독립세력을 구축할 가능성에 대해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이 경우 자국 내 쿠르드족 등 소수민족들의 독립 움직임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니파 국가인 터키는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시아파인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축출을 최우선 해법으로 제시하면서 시리아 반군을 지원해왔다.

다만 온건 반군세력을 돕는 미국과 달리 터키는 알카에다 연계조직인 알누스라 전선과 아흐라르 알샴 등 주로 급진 이슬람 반군들을 지원해 알아사드 정권의 전복을 노렸다고 또 다른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전했다.

이를 위해 터키는 알누스라 전선이나 ‘이슬람국가’(IS) 등에 합류하기 위해 자국을 거쳐 시리아로 가는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국경통과를 용인해 시리아의 ‘지하디스트’(성전주의자) 조직을 사실상 키워줬다는 게 이 신문의 분석이다.

그러나 러시아가 지난 9월부터 우방인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을 적극 돕기 시작하면서 터키의 ‘알아사드 죽이기’ 전략은 꼬이기 시작했다.

선대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 때부터 시리아와 각별한 사이를 유지해온 러시아가 표면에 IS 응징을 내세우면서도 주로 반군 장악 지역을 공습하며 ‘알아사드 살리기’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시리아 사태 해법을 둘러싼 이해관계 충돌로 불거진 양국의 갈등은 러시아가 시리아의 소수민족 투르크멘 반군까지 최근 잇따라 공격함에 따라 절정에 달했다. 터키는 자국민과 민족적으로 가까운 투르크멘족을 ‘형제 민족’으로 부르며 투르크멘 반군을 지원해왔다.

결국 러시아의 개입으로 상황이 불리해질 대로 불리해진 터키로서는 이를 견제하기 위해 영공침범을 구실로 ‘초강수’를 뒀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터키가 투르크멘족을 지원하는 데에는 시리아에서 쿠르드족의 세력 확장을 저지하고자 하는 의도도 깔렸다고 가디언은 진단했다.

투르크멘족이 사는 라타키아를 시리아 내 쿠르드족의 세력 확대를 막아주는 일종의 ‘완충지대’로 삼으려 했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의 공습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파리 테러 등 IS의 잇따른 테러 공격으로 전 세계가 알아사드 정권의 축출에서 IS 격퇴로 정책의 무게중심을 이동해 서방과 러시아의 공조 주장까지 제기되자 급해진 터키가 여기에 찬물을 끼얹으려는 의도를 가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디펜던트는 터키가 세계열강들이 논의 중인 시리아 사태의 평화적 해결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알아사드 정권으로 다시 관심을 돌려 시리아에서 입은 지정학적 손실을 만회하려는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또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지난 9월 러시아 방문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시리아 사태를 논의한 직후 러시아가 아무런 통보 없이 전격 시리아 공습에 나선 사실도 터키를 더욱 자극했다고 가디언은 보도했다.

이 신문은 그러나 터키가 천연가스의 60%를 러시아로부터 들여오는 등 러시아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높아 이번 갈등이 더 확대되기를 바라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