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로 지역, 산업, 대학 소멸 위기
인재 양성 목표 공유해 과감히 혁신하고
디지털 플랫폼 통해 세계와 연계해야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가 초래할 미래가 경제·사회 전반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기 시작한 것은 오래됐다. 출산율 감소로 합계출산율이 0.72명으로 낮아졌는데, 올해는 0.7명 미만으로 더 떨어질 전망이다. 출산율 감소는 인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고령층 인구 비율의 증가로 이어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50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전체의 약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층 인구 비율이 늘면 경제활동 인구의 부양 부담을 증가시켜 출산율이 감소하는 악순환 구조를 형성한다.인구 감소는 산업 위기로도 이어진다. 제조업, 건설업 등 청년층이 취업을 꺼리는 분야는 이미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들 산업 종사자의 평균 연령은 2022년 기준 43.5세로 고령화가 눈에 띄게 진행됐다. 저출산과 인구 감소로 이제 경제의 기반이 되는 산업의 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교육 현장도 마찬가지다. 낮은 출산율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는 이미 초중등 학교와 대학의 소멸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기준 지방대 5곳 중 1곳은 신입생 충원율이 80%에도 미치지 못했다. 2040년대에 가면 지방대의 절반 가까이가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지역, 산업, 대학이 동시에 소멸 위험을 겪고 있다는 것은 사실상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를 의미한다. 위기의 근원은 인구 감소였으나 지역, 산업, 대학의 단절이 이 위기를 더욱 심화시켰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교육, 취업, 정주가 순차적으로 진행됐다. 일정 기간 교육을 받고 산업체에 취업해 경제력을 갖추면 지역에 정착하는 방식이다. 이제 이러한 순차적 진행이 깨진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ㆍ산업ㆍ대학이 ‘인재양성 목표’를 공유하면서 긴밀하게 협력하고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는 지역사회 기업과 연계해 대학교육을 혁신했고, 일본 벳푸시의 리쓰메이칸아시아태평양대는 기업 후원을 받아 글로벌 혁신 교육을 실현함으로써 지역의 인구 감소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지역의 대표 기업인 조선소가 무너지면서 심각한 실업률 위기를 경험했던 말뫼시는 1998년 말뫼대학을 설립해 스타트업 경제를 통해 인구 감소 위기와 경제위기를 극복했다.
이들 지역과 대학은 지역, 산업, 대학이 추구하는 ‘공동의 인재상’을 바탕으로 인재 양성, 산업 활성화, 지역 정주의 책임을 공유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 변화를 이끌었다. 나아가 세계의 인재를 지역의 인재로 적극 육성함으로써 대학은 물론 지역과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글로컬 기반의 대학교육 혁신과 지역 혁신이 필요한 이유다.
지역, 산업, 대학을 연결하는 또 다른 수단은 디지털 기술이다.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을 확대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글로벌ㆍ지역ㆍ산업ㆍ대학 간 ‘인재양성’ 육성을 위한 공유·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지역, 산업, 대학의 글로컬 협력과 디지털 인재 양성 전략을 연계해 인재 양성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외 학생의 입학부터 졸업 이후까지 공동의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지역 혁신과 새로운 미래가치 창출을 모색할 수 있다.
지역과 산업 그리고 대학은 이제 디지털 기술 기반의 글로컬 인재를 양성하는 공동의 플랫폼이 돼야 한다. 글로컬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재상과 성과를 공유하고, 세계와 지역을 연계하며, 참여자의 접근성을 높여 지역, 산업, 대학 모두에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전망했던 어두운 미래가 현실이 되기보다 미래에 돌아보는 지금의 혁신이 또 하나의 위기 극복 사례가 되기를 기원한다.
이창원 한성대 총장·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이창원 한성대 총장·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2024-02-23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