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어떤 동반

[정은귀의 詩와 視線] 어떤 동반

입력 2024-11-05 00:01
수정 2024-11-05 00: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 하나 꽃 피어

풀밭이 달라지겠냐고

말하지 말아라

네가 꽃 피고 나도 꽃 피면

결국 풀밭이 온통

꽃밭이 되는 것 아니겠느냐

나 하나 물들어

산이 달라지겠냐고도

말하지 말아라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결국 온 산이 활활

타오르는 것 아니겠느냐

―조동화 ‘나 하나 꽃 피어’

이른 아침 사진 한 장을 선물처럼 받았다. 산 그림자가 호수 물에 풍덩 깃들어 있고 안개가 먼 산허리를 부드럽게 감싸고 있다. 경주 보문호의 가을. 사진을 보내 주신 분은 아버지 연배의 어르신인데 자주 뵙지 못해도 나를 세심하게 살피는 마음의 눈을 가지신 분이다. “아들 등에 업혀서” 가을 소풍을 가셨다고. 잘 걸으시는 분이라 아들 등에 업혀서 간다는 표현은 비유인데, 그 말이 참 좋았다. 상상만 해도 즐거운 나들이다.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본다. 힘들 때, 마음이 풍랑처럼 들썩일 때, 나지막한 경주 남산을 떠올리곤 하는데, 이제는 이 호수도 함께 떠올리게 될 것 같다. 돌멩이를 던져도 물결이 일지 않을 것처럼 고요하고 너른 호수, 호수의 마음을 닮아 간다면 나도 근사하게 깊어질 것 같다.

어른은 이 시를 함께 보내 주셨다. 경주 출신의 시인이라 시비가 경주에 있다. 나 하나 한다고 뭐가 되나? 이런 말을 우리는 쉽게 한다. 변화가 필요하지만 용기가 없을 때, 분투가 필요하지만 겁이 날 때 하는 말이다. 그러면서 주저앉는다. 현실은 그대로이고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인의 마음은 매사에 주춤, 뒤로 물러서는 우리의 나약함을 시적인 시선으로 신비롭게 탈바꿈시킨다. 너도 피어나고 나도 피어나면 풀밭이 다 꽃밭이 되리라고 하니 말이다. 꽃이 피는 일과 물드는 일이 모두 비슷하다. 나 하나 물든다고 뭐가 달라질까? 하지만 시인은 내가 물들고 너도 물들면 온 산이 활활 타오르는 것 아니겠느냐고 반문한다. ‘말하지 말아라’라는 명령문은 ‘되는 것 아니겠느냐’는 간곡한 질문 덕분에 강압이 아닌 유순한 초대가 된다.

이맘때의 가을산은 하루가 다르게 색이 바뀐다. 노랑으로 물들어 가는 뒷산 은행나무를 보며 생각한다. 너도 물들어 가는구나. 나도 물들어야지. 저마다 다른 색깔로 물든 세상은 조화롭고 아름답다. 피어나는 일, 물드는 일, 지는 일, 다시 피는 일. 모두 홀로 함께 하는 일이다. 무언가를 먼저 시작하는 용기는 너/당신이 있어 서로 지지하고 우리라는 힘으로 모일 때 지속적인 추동력을 얻는다. 우리 잠시 다녀가는 이 세상의 삶이 많은 고난에도 불구하고 어떤 기적을 선사한다면, 그건 바로 동반과 함께 나아가는 여정에 깃든 신비다. 이 가을, 저 단풍들처럼 우리도 함께 물들어 보자. 아무 두려움 없이 그렇게 함께하자. 그러면 또 한 걸음 나아간다. 썩 괜찮은 초대이지 않은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4-11-05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