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정 바르샤바 SSW 프래그마틱 솔루션스 변호사
누구인들 자기 자식이 그렇지 않겠냐마는 아이는 귀엽고 사랑스러웠다. 하지만 육아를 기쁘고 즐거웠던 일로만 기억하고 있지는 않다. 서울에서 변호사로 일하면서 젖먹이 아이를 키우는 건 쉽지 않았다. 일은 매우 많았고 노동시간은 매우 길었다. 아이가 잠들기 전에 돌아가기 위해서는 식사시간도 줄이거나 건너뛰면서 일을 해야 했고 그래도 못다한 일거리를 싸 들고 귀가했다. 잠은 늘 부족하고 아이를 안고 있느라 여기저기 아팠으며 동동거리는데도 시간은 없는 생활이었다. 그래도 한국에서는 가족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으니 다행이었다. 영국에서는 근무조건이 훨씬 여유 있었으나 믿을 구석이 하나도 없었다.
아이가 젖을 떼고 기저귀를 떼고 스스로 밥을 먹고 자기 몸을 제대로 가누게 되기까지 육아는 물리적으로 힘이 드는 일이다. 물론 정신적으로도 힘이 든다. 상대는 논리나 설득 따위는 전혀 통하지 않고 끊임없이 요구를 하고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사정 보지 않고 울거나 떼를 쓰는 존재 아닌가 말이다. 좀 자라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 돌봄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주 양육자(한국뿐 아니라 많은 사회에서 여전히 이 역할은 엄마의 몫인 것 같으니 그저 엄마라고 쓰자)의 몸은 덜 힘들어지지만 신경 써야 할 일은 점점 많아진다. 숙제며 준비물이며 심지어 아이의 교우관계 등등 챙겨야 할 것은 어찌나 많은지. 가사 역시 투입해야 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만만치 않은 노동이다. 거기에 직장일이 더해진다면 이건 뭐 그냥 하루하루 막아내며 사는 거다.
문제는 아이를 키워 본 사람들도 아이 키우기가 힘들다는 사실을 쉽게 잊는다는 것이다. 이미 그 전쟁 같았던 하루하루에 대한 세세한 기억들을 잊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아이란 자라기 마련이고 남는 건 사진이니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귀엽고 예쁘고 사랑스럽고 거기에 더해 스스로 젊었던 시절 좋았던 기억만을 돌이키게 되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때로는 남들도 다 하는 일이라거나 자기 자식을 키우는데 뭐가 힘이 드느냐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예쁜 건 예쁜 거고 힘든 건 힘든 거다. 힘든 일을 겪는 것과 그걸 보는 것은 다르다. 육아가 현재 상황인 사람들에게 그저 참으라거나 남들도 다 겪는 일이라거나 지나면 추억이라거나 등등의 말은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 힘이 들 것이 두렵거나 피하고 싶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아이를 낳지 않기로 선택하는 사람들도 당연히 있는 것인데 여기 대고 이기적이라고 비난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더구나 코로나19로 인해 외출이 자유롭지 못하고 정상적으로 등교를 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육아는 더 힘들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우선 육아가 힘들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 그래야 아이를 키우는 엄마를 보는 눈이 달라지고 구체적으로 도움을 줄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엄마들이 아이를 돌봄 시설에 맡겨 놓고 커피를 마시는 건 팔자가 좋아서가 아니다. 그렇게라도 해야 숨통이 트이기 때문이다. 힘든 육아 중에 잠시 쉬는 시간이라는 이야기다. 자신을 챙겨야 아이도 돌볼 수 있다. 물론 그런 시간을 가질 형편이 안 되거나 혹은 필요를 느끼지 않는 엄마도 있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는 이유로 잠시라도 숨쉴 틈을 찾는 사람을 비난할 수는 없지 않나. 기저귀 한 번 갈아주거나 잠투정하는데 안고 재워 주거나 뭐든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도 아니면서 말이다.
다시 육아일기로 돌아가자면, 힘들다는 이야기가 많아서 아이에게 보여 주는 건 그리 좋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힘들다는 말을 적느라 아이를 사랑한다는 말을 많이 적지 않았더라. 힘들기만 한 것은 아니었고 아이는 사랑스러웠다. 그리고 사랑한다는 말은 다른 말보다 많이 하는 게 좋은 법이다.
2020-06-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