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시훈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전문가 집단의 신뢰성이 낮아진 것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고 전 세계적인 현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 및 정책적 의사결정에서 전문성에 기반한 목소리가 대중들의 방향과 자주 충돌하게끔 만든다. 이런 충돌에서 옳고 틀림의 기준으로 보면 그래도 아직은 대중들의 목소리가 틀릴 가능성이 더 높다. 하지만 정부는 대중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기에 갈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의사결정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의사결정을 두고 정부가 포퓰리즘을 조장한다고 분노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일부 선동형 정치가들이 만들어 내는 문제도 있지만, 정부는 기본적으로 선출권력이기에 대중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기 어렵다는 태생적 한계 역시 존재한다. 정부를 욕하는 것은 쉽지만 그것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 전문가들 스스로 신뢰를 얻도록 노력을 해 대중들의 불신을 낮추고 좋은 방향으로 정책적 의사결정이 나오도록 이끌어 내는 것이 근본적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서는 열린 공론장이 만들어져야 한다. 전문가들은 완벽한 존재가 아니다. 어떤 주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만, 다른 주제는 여전히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논쟁적인 경우도 있고, 전문가도 실수나 착각을 해 잘못된 정보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것에 대한 문제제기와 비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토론이 나타나며 대중들이 이것들을 보고 어느 쪽이 합당한지 판단할 수 있는 일종의 광장이 필요하다.
이미 소셜미디어는 이런 기능을 일부분 하고 있다. 문제적 내용이 레거시미디어인 전통언론에 나오면 소셜미디어에서 공격과 조롱을 하는 것이 어느새 자주 보인다. 이것은 권위주의 정부와 전통언론이 여론을 과점했던 과거의 잔재로 생각된다. 실명으로 정부 방침이나 전문가의 권위에 반대하기 어렵다 보니 풍자와 조롱으로 비난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비록 이제는 정부에 대한 비판이 과거에 비해 자유로워졌지만 말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누군가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A라는 주장에 대해 B라는 반론을 제기하면 A라는 주장을 한 사람들이 자신들을 모욕했다고 생각하거나, 언론사의 권위에 도전하는 공격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환경에서는 공론장은 폐쇄적으로 남게 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전문가들이 노력해야 한다. 선거예측 및 부정선거에 관해 정론을 펼치는 전문가들도 많으며, 틀린 분석을 비판하는 논쟁이 상호존중하에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 해결의 실마리는 공론장에서 일정한 권력을 가진 집단에 있다. 전문가는 결국 개인이지만, 언론은 대형 스피커와 연단을 갖고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언론과 전문가들이 좋은 의견을 제시하려면 상호 견제와 비판이 보다 활발해져야 한다. 언론이 굳이 심판만 보려고 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오히려 기계적 중립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 그보다는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히 내면서 다른 언론 보도의 문제점도 지적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논쟁이 이어지다 보면 실수하는 전문가는 언론이 인용보도하지 않게 돼 공론장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고, 언론은 더 나은 전문가를 발굴할 수 있다. 이런 것이 진정한 의미의 경쟁이다.
현재 공론장의 한쪽에서는 궤변들이 꾸준히 나오고, 다른 쪽에서는 조롱과 악담이 넘친다. 공론장 밖 개인의 비판은 서로를 존중하면서 공론장 안으로 흡수돼야 하고, 이미 공론장에 있는 언론의 비판은 더 경쟁적일 필요가 있다. 전통언론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문화부터 바꾸고 전문성을 획득해야 한다.
2020-06-0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