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코로나19 공포시대, 스스로를 냉정하게 돌아볼 때/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열린세상] 코로나19 공포시대, 스스로를 냉정하게 돌아볼 때/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입력 2020-03-22 17:22
수정 2020-03-23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코로나19 사태는 어차피 한번은 맞을 매라고 보면 제대로 먼저 맞은 것처럼 보인다. 신속한 검사, 투명한 정보 공개와 의료진의 헌신으로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여 세계 여러 나라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태가 완전히 종결되고 나면, 최선의 대처 방식이 무엇이었을지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점점 잦아지는 전염병에 대비해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현시점에서는 자아도취에 빠지는 대신 우리 스스로 더 냉정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다.

스스로 돌아보는 일은 어렵다. 이 일이 쉽다면 공자가 ‘자기를 아는 사람이 참된 지식인’이라고 가르치거나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는 델포이 신전에 새겨진 문장을 설파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 한 예로 성격에 대한 판단을 살펴보자. 자신의 성격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은 과연 자기 자신일까. 그렇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데이비스에 소재한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사이민 바지르 교수는 실험참여자에게 스스로의 성격에 대해 여러 측면을 평가하도록 했다. 그다음에 실험참여자의 친구들에게도 실험참여자의 성격을 평가하게 했다. 마지막으로 실험참여자에게 세 개의 과제를 수행하게 하면서 전문가에게 실험참여자의 성격을 평가하게 했다. 그런 다음, 실험참여자 본인과 친구들의 평가가 전문가의 평가와 얼마나 비슷한지 비교했다. 그 결과 불안이나 신경증처럼 관찰하기 어렵고 평가하기도 어려운 특성에 대해서는 실험참여자 본인의 판단이 더 정확했다. 하지만 ‘똑똑함’처럼 관찰하기는 어렵지만 평가하기 쉬운 특성은 친구들의 판단이 더 정확했다. 즉 우리 자신의 성격 특성 중 일부는 남이 더 잘 안다.

우리가 자신의 성격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때 나타난다. 인간은 자신이 남보다 낫고 자신이 속한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 이런 성향은 미국에서 자기 과실로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들에게 자신이 얼마나 안전하게 운전하는지를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이미 사고를 낸 상황인데도 자신은 평균 이상으로 안전하게 운전한다고 반응했다. 만일 이들에게 다른 사람은 얼마나 안전하게 운전하는지를 물어보았다면 자신보다 더 낮다고 답변했을 것이다. 이런 성향은 우리에 대해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한국과 일본의 축구 경기를 지켜보면, 한국인은 한국 선수들이 더 신사적으로 경기에 임한다고 생각하고 일본인은 그 반대로 생각한다. 요컨대 자기와 우리를 무조건 실제보다 더 좋게 본다.

게다가 우리 각자는,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자신만큼은 사물이나 사건을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고 착각한다. 그래서 자신과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여긴다. 이런 연유로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과도하게 비판적이어서 갈등이 많을 수밖에 없고, 그 갈등을 잘 해결하지 못한다. 각자 자기에게 편향된 입장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여러 자기중심성에 추가해, 사람들은 편향맹점을 갖고 있다. 즉 위에서 소개한 여러 착각을 다른 사람들이 범할 때는 잘 지적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그렇지 않다고 착각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은 정신차려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에게는 문제가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보편적인 자기중심성과 편향맹점은, 이번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위기상황일수록 더 증폭된다. 그 결과 당장의 불안을 극복하려고 자기중심적이고 자민족중심적인 말과 행동이 중국이나 일본 등 나라마다 넘치고 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들에게 똑같이 맞대응하면서 감정적으로 대립하거나, 아니면 주장할 것은 주장하되 감정적 반응은 절제하는 것이다. 그런데 감정적 반응은 잠시 통쾌할 수 있지만 후유증이 클 때가 많다. 따라서 감정을 폭발시키는 대신 냉정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거기서 그치지 않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감정적으로 던진 말 가운데 우리가 받아들이면 좋을 부분을 찾아내어 변화를 모색하자. 개인이든 국가든 이런 변화를 이루어내는 만큼 더 나은 세상이 되기 때문이다.
2020-03-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