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정조는 즉위 일곱 해 만에 아들을 얻었다. 문효 세자였다. 그날 정조는 “비로소 아비라는 호칭을 듣게 됐다”며 기뻐했다. 왕세자가 다섯 살이던 1786년 홍역이 창궐했다. 4월 20일 정조는 가난한 백성들의 홍역부터 치료하라고 일렀다. 사람마다 홍역을 진찰하고 집집마다 처방약을 지급하는 것이 도리이겠으나 당장은 그리 할 수 없으니 가장 가난한 백성들을 우선하라고 명했다. 이날 의사에서 홍역을 관리할 매뉴얼을 만들어 왕에게 보고했다. 의료진의 구성, 가난한 자의 우선 진료와 증세에 따른 처방, 진료 기록의 유지, 증세를 허위 보고한 자에 대한 처벌, 의료진의 이동 수단 제공, 출장과 내원 진료할 때 인력 유지 방안 등이 상세하게 담겼다.
오월 초 정조의 어린 아들도 홍진 증세를 보였다. 의약청을 설치해 왕세자를 치료했다. 사흘 후 왕세자의 상태가 호전돼 의약청을 철수했다. 정조는 기쁨의 표시로 사면령과 과거시험 준비를 명령했다. 의약청에는 상을 내렸다. 그러나 오월 열하루 왕세자는 홍역을 이겨내지 못하고 훙서했다. 약방에서 자신들의 죄를 다스려 달라고 했으나 정조는 듣지 않았다. 장수와 요사는 하늘에 달린 일이라고 말했다. 며칠 후 왕세자를 치료한 약원을 처벌하라는 탄핵 상소가 올라왔다. 양사는 상소문에서 의약청 의관들이 약 처방을 잘못했으므로 그들을 빨리 잡아다 엄히 국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조는 자신의 책임일 뿐 의관들에게 죄를 줄 일이 아니라며 탄핵을 불허했다. 엿새 후 삼사에서 다시 의관 탄핵 상소문을 차자했다. 백성의 여론이 의관을 엄히 처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의관들을 의금부로 잡아다 국문하라는 기존의 상소를 반복했다. 정조는 윤허하지 않았다.
탄핵 상소는 계속됐다. 정조는 자신이 직접 약제를 썰고 달였다면서 의관에게 죄를 떠넘길 일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마음의 상처를 덧나게 하는 탄핵 상소의 반복은 무상할 뿐 이치에 맞지 않다며 단호하게 대응했다. 와중에 정조는 효험이 있다는 홍역 치료법을 모은 ‘진역방’을 전국에 반포했다. 자식의 죽음에 슬퍼만 할 때가 아니라 홍역으로부터 백성의 목숨을 건져내는 일이 시급하다는 정조의 세세한 언행이 기록물에 남았다. 이 무렵의 ‘정조실록’과 ‘일성록’ 정조편에는 왕세자를 돌본 의관을 처벌하라는 삼사의 탄핵 상소와 세자의 죽음은 의료진의 것이 아니라 자기 책임이라며 언관들의 상소를 물리친 정조의 하명이 바둑알처럼 낱낱이 새겨져 있다.
정조는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양반들의 상소문뿐 아니라 ‘격쟁’의 방법으로 하소연하는 뭇 백성에게도 귀를 기울이며 소통하던 왕이었다. 무엇보다 정조는 성찰과 기록의 중요성을 터득하고 실천했다. 세손 때부터 써 온 일기를 즉위 후에도 날마다 작성했다. ‘일성록’은 그 기록의 집대성이다. 그 서문에 따르면 일을 날마다 기록하고 날이 쌓여 해가 된 것이 역사다. 옛날을 보는 것은 지금을 살피는 것만 못하고 남에게서 구하는 것은 자신에게 반추한 것만 못하다고 썼다. 성찰과 기록을 대하는 왕의 자세에 가슴이 시리지 않은가.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과 보건당국, 시민에 대한 취재보도가 어찌해야 할 것인지 언론의 되새김이 절실하다. 여론을 빙자해 의관을 탄핵하고 국문하라던 언관들의 상소문처럼, 정책비판을 빌미로 차별과 혐오를 확산하는 뉴스를 생산하고 있지 않은지 언론의 자기 점검이 필요하다.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사지에 기자들을 억지로 밀어 넣지 않도록 데스크는 경계해야 한다. 언론의 기록은 그 자체로 역사다. 후대의 평가가 준엄하지 않겠는가.
2020-03-1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